논문 상세보기

대의제 국회 입법과정에서 인공지능(AI)의 역할: 공익의 ‘발견’과 ‘결정’을 중심으로 KCI 등재

Roles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process under the Representative system: focused on finding and decision on public inte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731
  • DOIhttps://doi.org/10.15335/GLR.2018.11.3.00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대의제는 익히 대화와 토론을 통한 공공의 이익 판단을 위하여 고안된 정치제도이다. 공공의 이익은 ‘결정’ 되거나 ‘발견’ 되어 진다. 결정되는 공익은 가치관의 차이에 의거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다수결의 원칙으로 정해지는 것이고 발견되는 공익은 숙의 없이 공익이 발견되는 경우와 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로 나뉜다. AI는 이 세 가지 유형 중에서 숙의가 필요한 경우에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현재에도 대의제의 핵심 요소인 선거를 통하여 선출된 대표자들이 공공의 이익을 판단을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와 장치들이 구성되어 있다. 대통령의 직무를 돕기 위해 대통령의 인사권이 인정되는 ‘임명직’ 공직자나 국회의원의 공공의 이익 판단을 위해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법조사처 등의 조사기관들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최종 공익결정 권한이 없는 중간 판단자와 공익 결정의 권한이 있는 결정 주체 모두에게 AI는 유용할 수 있다. 물론, 대표를 선출하지 않는 (직접)민주주의 하에서도 AI는 기능할 수 있다. AI가 제공한 정보로 가부를 묻는 실시간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부를 묻는 의제의 선정을 사람이 아닌 AI가 맡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AI가 사람을 지배하는 상황으로 변질 될 수 있는 위험성도 매우 크다. 한 발 더 나아가 AI가 의제를 결정하고 중간 판단도 하며 최종 공익 결정도 AI가 할 경우 사람은 주권을 포기하거나 강탈당하거나 양자 중에 선택해야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는 헌법적으로 용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에 앞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인공지능의 특징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람에 비하여 훨씬 AI가 ‘객관적’이라 믿는다. 하지만, AI는 어떤 알고리즘을 통하여 학습하는가에 따라서 완벽하게 다른 결론을 ‘객관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AI가 입법과정을 다룸에 있어서 사람만큼이나 편견이 생겨 그 편향성이 강화된다면 AI에게 객관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편향성을 가진 인공지능이 의제를 결정하고 중간판단에도 개입하고 최종 공익 결정도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인 알고리즘 조작을 통해 가능하다면 그것이 우리 인류가 대의제를 고안한 근본 원칙에 맞는 것인가에 대해 동의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이것이 AI가 발전하면 서도 궁극적으로 공공의 이익의 최종 판단을 합의제 의사결정 기구인 국회에서 ‘사람’으로 구성된 국회의원이 해야만 하는 이유이다. 객관적일 것이라 기대하는 AI도 우리만큼 편향적일 수 있기에 우리가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것은 ‘불완전한 인간’들의 숙의를 통한 공익 추구뿐이다.

The representative system is a political system designed for public interest judgment through dialogue and discussion. The public interest is 'decided' or 'discovered'. The public interest determined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majority rule in the extreme confrontation based on the difference of values, and the public interest that is found is divided into cases where the public interest is found without deliberation and the case where the deliberation is essential. AI can be most useful if you need diligence among these three types. Even today, there are various systems and devices for elected representatives to help judge the public interest. Those who are appointed by the president to help the president in his or her duties are the public officials of the presidential nominee, and the investigation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and Policy Depart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Investigation Department. AI can be useful to both intermediate decision makers who do not have the final public interest decision authority and decision makers who are authorized to make public interest decisions. This is because we can us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AI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enables a real-time referendum to the government. In such cases, however, the choice of an agenda for the right to leave is left to artificial intelligence, not to man, so there is a great danger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turn into a situation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works. Going one step further, if an AI decides an agenda, makes an interim judgment, and the AI makes the final public interest decision, one has to give up his sovereignty or choose neutral. Of course, this is not allowed under the Constitution. However,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must be considered before this. Most people believe that AI is much more 'objective' than humans. However, AI can make a completely different conclusion look 'objective' depending on what algorithm it learns. It is difficult to expect objectivity from AI if AI is as biased as a person in dealing with the legislative process and its bias is strengthened. Biased Artificial Intelligence If we decide on an agenda, intervene in the interim judgment, and the final public interest decision is made possible by someone manipulating the algorithm intentionally, we can not agree on whether that human race meet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designing the agent It is obvious. This is the reason why, even as the AI develops, ultimately, the final judgment of the public interest must be made by a parliamentarian composed of 'people' in the parliament, which is a consensus decision-making body. The AI that we expect to be objective can be as biased as we are, so the last thing we can lean on is the pursuit of public benefit through deliberation of "imperfect human beings."

목차
< 국문요약 >
 I. 서 론
 Ⅱ. 왜 우리는 대의제를 선택했는가?
  1. 대의제와 민주주의
  2. 숙의(熟議)라는 무기
   (1) 숙의민주주의와 선호집합 민주주의
   (2) 1차 숙의(내부적 숙의)와 2차 숙의(외부적 숙의)
 Ⅲ. 숙의과정에서 AI의 역할과 주권 문제
  1. 사람인가, AI인가
  2. AI의 편향성과 다양성에 대한 고려
 Ⅳ. AI를 통한 숙의 - 공공의 이익의 ‘발견’과 ‘결정’
  1. 법률안의 성격에 따른 세 가지 유형
  2. 공공의 이익의 발견: 일반법률안
   (1) 직관적으로 공익을 판단할 수 있는 법률안
   (2) 공익 판단을 위해 숙의가 필요한 법률안
  3. 공공의 이익의 결정: 숙의법률안
 V.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조원용(중앙선거관리위원회 중앙선거연수원 전임교수, 법학박사,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Korean Civic Education Institute for Democracy Professor, Ph. D. in law) | Cho, Won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