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인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KCI 등재

Survey on the Use of the Smartphone by the Disabl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1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장애유형별로 스마트폰 사용의 특성과 사용실태를 확인하여 적합한 컨탠츠의 개발과 임상현장에 필요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조사한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원 자료 사용 동의 후 장애인 스마트폰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3세 이상 69세 이하 가구원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24,386명 가운데 장애인 559명을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콘텐츠는 메신저(94.8%), 웹서핑(74.9%), SNS(62.3%)였다. 장애인들은 가상현 실, 증강현실, 혼합현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청각장애의 경우 스마트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며 시각장애의 경우 PC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모든 장애유형에서 인터넷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며 주중 보다 주말에 인터넷 사용횟수와 시간이 높았다.
결론 : 장애인들은 가상현실과 관련하여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높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으며, 시각장애의 경우 장애의 특성과 함께 사용의 특성까지 고려된 콘텐츠 개발과 중재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age and actual use of each type of disability and to provide primarydata necessary for the clinicalfield.
Methods : The Researchon the usageof smartphone for the disabled was analyzed after agreeing to use ‘2016 Research on the Internet and excessive Dependence’ by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Among the 24,386 people who have used the Internet or smartphone more than once in the last one month. Moreover, fromthat householdaged 3 to 69, who reside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559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as disabilities, brain lesions, hearing impairments and visual impairments.
Results : The most frequently used contents of the disabled were a messenger(94.8%), web surfing (74.9%) and SNS (62.3%) in order. The disabled people have the high preference for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In the case of physical disabilities, brain lesions, and hearing impairments, they use smart media more frequently, and in case of visual impairments, they use PC the most. The satisfaction of internet use was high in all types of disability, and the frequency and time of Internet use were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Conclusion : Even though the disabled people are not using virtual reality, they have high expectation. In case of visual impair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ents development and arbitr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se and disability together.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III.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장애유형별 콘텐츠 사용유무
  3. 장애유형별 가상현실 이용률 및 선호도
  4. 장애유형별 인터넷 주 사용기기 및 비율
  5. 장애유형별 스마트 미디어 일일 사용횟수 및 시간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종식(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ang Jong-Sik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Far East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