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reenTD 물질을 이용한 유해 적조 발생 종의 선택적 살조능 평가 KCI 등재

Selective Algicidal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GreenTD against Red Tide Harmful Alg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하계 우리나라 연안내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해적조생물 제어는 수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국가적 현안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Thiazolidinedione 유도체 물질인 GreenTD 농도 구배별로 유해 미세조류 4종(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Cochlodinium polykriokid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과 무해 미세조류 3종 (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sp., Tetraselmis sp.)에 대해 생물 고밀도 실험군과 저밀도 실험군에서 살조물질 농도별 살조효율과 선택성을 조사하였다. 유해종에 속하는 침편모조류 C. marina와 H. akashiwo는 각각 GreenTD 0.5와 0.2 μg L-1 농도에서 단시간에 확실한 효과를 보였으며, 14일 동안의 관찰에서도 재성장을 보이지 않았다. 적조생물 C. polykrikoides은 GreenTD 0.2 μg L-1 이상의 농도에서 광합성활성이 현저하게 떨어졌고, 살조효율 역시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GreenTD 0.2 μg L-1에서도 C. polykrikoides가 재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물질은 C. polykrikoides에 대한 살조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H. circularisquama는 고밀도 실험군에서 GreenTD 0.5 μg L-1, 저밀도 실험군에서는 GreenTD 0.2 μg L-1 농도에서부터 일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규조류 C. simplex와 Skeletonema sp.에 대해서는 생물농도가 고밀도일 때 GreenTD 0.2 μg L-1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초기 일정한 영향을 받은 후 시간 경과와 더불어 재성장이 이루어졌다. 특히 녹조류 Tetraselmis sp.는 최고농도인 GreenTD 1.0 μg L-1에서도 일정하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GreenTD 농도와 생물밀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살조물질의 효과는 침편모조류>와편모조류>규조류>녹조류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GreenTD 물질은 유해종에는 높은 살조능력이 있고, 무해종에는 일시적으로 광합성활성에 영향을 주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조생물 C. polykrikoides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밀도 실험군에서 80.8%의 살조효과를 보인 GreenTD 0.2 μg L-1의 농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현장 적용시 일시적인 희석등을 고려하여 적정농도보다 높게 살포하면 일정하게 높은 살조효율을 가질 것이며, 이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물질로 기대된다.

Harmful algal blooms (HABs) are a serious problem for public health and fisheries industries, thus there exists a ne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ways for effective control of HAB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lgicidal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GreenTD against the HABs (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Cochlodinium polykriokides, and Heterocapsa circularisquama) and non-HABs (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sp. and Tetraselmis sp.), which is focused on the different population density and concentration gradients of algicidal substances. The time series viability of target alga was assessed based on the activity of Chl. a photosynthetic efficiency in terms of Fv/Fm, and in vivo fluorescence (FSU). Effective control of Raphidophyta, C. marina and H. akashiwo was achieved at a GreenTD concentration of 0.5 μg L-1 and 0.2 μg L-1, respectively, and regrowth of both the species was not observed even after 14 days. The inhibitory ratio of the dinoflagellate, C. polykriokides was more than 80% at 0.2 μg L-1 of GreenTD. H. circularisquama was constantly affected in the presence of 0.2 μg L-1 of GreenTD in the high-and low-population density experimental groups. On the other hand, diatoms, C. simplex, and Skeletonema sp.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even in the presence of 0.2 μg L-1 of GreenTD and exhibited re-growth activity with the passage of incubation time. In particular, green alga Tetraselmis sp. remained unaffected even in the presence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reenTD (1.0 μg L-1), implying that non-HABs were not greatly influenced by the algicidal substances. As a result, the algicidal activity of GreenTD on the harmful and nonharmful algae was as follows: raphidophyte>dinoflagellates>diatoms>green alga. Consequently, our results indicate that inoculation of GreenTD substances into natural blooms at a threshold concentration (0.2 μg L-1) can maximize the algicidal activity against HABs species. If we consider the dilution and diffusion rate in the field application, it is hypothesized that GreenTD will demonstrate economic efficiency, thus leading to effective control against the target HABs in the closed ba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살조물질준비
  2. 대상 미세조류의 배양
  3. 대상 미세조류의 살조효과 및 생리활성 평가
  4. 대상 미세조류의 재성장 평가
 결과 및 토 의
  1. GreenTD 물질의 경제성
  2. 유해성 및 비유해성종의 활성 평가
  3. 유해성 및 비유해성종의 살조효율 평가
  4. 유해성 및 비유해성종의 재성장특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민지(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Minji Lee
  • 김진호(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Jin Ho Kim
  • 신주용(제주국제고등학교) | Juyong Shin
  • 임영균(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Young Kyun Lim
  • 백승호(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Seung Ho Baek Corresponding author
  • 조훈(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고분자공학과) | Hoon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