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stimation of design floods for ungauged watersheds using a scaling-based regionalization approach KCI 등재

스케일링 기법 기반의 지역화를 통한 미계측 유역의 설계 홍수량 산정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설계홍수량 산정은 일반적으로 수자원설계 목적을 위해 요구되며 수자원 관련 계획, 안정성 그리고 수공구조물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추정된다. 그러나 설계목적을 위한 국내의 유량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강우자료와 비교해 봤을 때 상대적으로 관측년수가 상당히 적은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 수립된 하천의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홍수량 및 유역특성인자(면적, 유역경사)로부터, 설계홍수량을 멱함수 형태로 지역화하여 미계측 유역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이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설계홍수량 지역화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과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계층적 Bayesia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차검증 관점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모형 적용 결과, 기존 면적기반의 홍수량 산정식에 비해 약 0.3 이상 높은 상관성을 가지며 홍수량을 추정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은 검증과 정과 도출된 결과를 통해 유역특성에 따른 재현기간별 설계홍수량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모형의 매개변수 및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stimation of design floods is typically required for hydrologic design purpose. Design floods are routinely estimated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safety and risk of the existing water-related structures. However, the hydrologic data, especially streamflow data for the design purposes in South Korea are still very limited, and additionally the length of streamflow data i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rainfall data.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a large number design flood data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e.g. area, slope and altitude) from the national river database. We further explored to formulate a scaling approach for the estimation of design flood, which is a function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Then, this study adopted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for evaluating both parameters and their uncertainties in the regionalization approach, which models the hydrologic response of ungauged basins using regression relationships between watershed structure and model.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was validated through ungauged watersheds. The proposed approach have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than the existing approach which is solely based on area as a predictor. Moreover, the proposed approach can provid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model parameters to better characterize design floods at ungauged watershed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방법
  2.1 강우-유출 방법
  2.2 비홍수량을 활용한 빈도별 비홍수량 추정 모형
  2.3 Bayesian GLM 기법을 활용한 미계측 유역 홍수량지역화
 3. 연구결과
  3.1 대상유역
  3.2 Bayesian 기법을 활용한 홍수량 지역화 분석결과
  3.3 홍수량 지역화에 따른 권역별 미계측홍수량 추정결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Kim Jin-Guk(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진국
  • Kim Jin-Young(ISAN Corporation) | 김진영
  • Choi Hong-Geu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최홍근
  • Kwon Hyun-Ha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권현한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