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비만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교육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KCI 등재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Program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for Obesity Manag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3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신체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활동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아동·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방법: 인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와 중학교 2개교의 재학생 중 저소득층 학생 189명(초등학생 92명, 중학생 97명)이 선정되어 초등학교 46명, 중학교 50명이 실험집단에 배정되어 신체 활동 상담 프로그램이 12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동시적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항목, 즉 유연성, 근력, 순발력, BMI를 측정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최선인, 정청희, 김병준(2005)의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체력검사와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 모두 사전 검사, 사후검사, 지연검사를 12주 간격으로 실시하여 이원혼합 설계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한편,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무작위로 초등학생 13명, 중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비참여적 관찰, 반구조화 개별 면담, 학생 신체 활동일지를 활용하여 문화 기술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 분석의 절차를 통해 자료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양적인 연구에서는 4가지의 체력검사와 6가지의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별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검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지연검사에서는 일부 요인에서 집단별 평균점수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 학생들은 신체 활동과 영양에 관한 지식, 개인 내적 변화(체력향상, 재미, 건강증진, 학업태도의 변화), 관계향상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program which was based upon previous research on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y-nine students (9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7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 elementary and 2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ty-six elementary and 50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s. The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program lasted for 12 week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using a concurrent mixed design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quantitative study, four items were tes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flexibility, power, agility, and BMI.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physic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tool of Choi, Chung, and Kim (2005) were employed. Both physical fitness test and physical self-concept test were measured by pre-test, post-test and retention-test at intervals of 12 weeks and processed using two-way mixed design ANOVA. Meanwhile, in the qualitative research, ethnographic research technique was carried out using randomly selected 13 elementary and 12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non-participant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and physical activity log.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domain and taxonomic analysis. Results: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all fitness tests and physical self-concept tests were significant in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ost-test. However, som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ean scores between groups in retention test. In qualitative research, students said there was progress in knowledge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ersonal chang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fun, health promotion, change of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relationship.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및 구성 내용
  2. 양적연구 방법
  3. 질적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1. 양적 연구 결과
  2. 질적 연구 결과
 Ⅳ. 종합논의
 참고문헌
저자
  • 유생열(경인교육대학교) | Seangleol Yoo (Gyengi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슬(국민대학교) | Seul Lee (Kookm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