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얀마 모곡변성대 페그마타이트의 광화작용 KCI 등재

Mineralization in the Pegmatite of Mogok Metamorphic Belt, Myanm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5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미얀마 모곡변성대에서 배터리 소재광물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 광물의 산출이 보고되었다. 모곡변성대 3개(신구, 모곡, 모메익) 주요 페그마타이트 산출지의 광화작용을 예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구 지역은 레피돌라이트 및 루벨라이트가 함께 산출되기도 하고(레트판라 2번 및 7번 페그마타이트), 루벨라이트만 산출 되기도 한다(레트판라 페그마타이트 4). 모곡 지역은 레피돌라이트 및 루벨라이트가 함께 산출된다(사칸지 페그마타이트). 모메익 지역은 레피돌라이트 및 루벨라이트가 함께 산출되기도 하고(페여우 페그마타이트), 루벨라이트만 산출 되기도 한다(케첼 이와르 팃 페그마타이트). 향후 모곡변성대 상기 페그마타이트를 대상으로 리튬광물의 자원량평가를 위한 정밀탐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t is reported that Li-bearing minerals regarding as a promising battery industrial commodity occur in the Mogok metamorphic belt, Myanmar. Preliminary considerations on the mineralization of pegmatite occurrences within Mogok metamorphic belt such as Singu, Mogok and Momeik are as follows. In Singu area, lepidolite and rubellite occur together (Letpanhla No. 2 & 7 pegmatite) while rubellite only occur (Letpanhla No. 4 pegmatite). In Mogok area, lepidolite and rubellite occur together (Sakangyi pegmatite). In Momeik area, lepidolite and rubellite occur together (Pheyeou pegmatite) while rubellite only occur (Khetchel Ywar Thit pegmatite). In the future, it is estima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detailed exploration for the resource evaluation of lithium-bearing mineral targeted for the pegmatite of Mogok metamorphic belt.

목차
요약
 ABSTRACT
 서 론
 지 질
  미얀마 지질 개요
  모곡변성대의 지질
 모곡변성대의 페그마타이트
  신구 지역
  모곡 지역
  모메익 지역
  페그마타이트의 광물학적 지화학적 특성
 토 의
 결 론
 REFERENCES
저자
  • 오일환(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 Il-Hwan Oh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허철호(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 Chul-Ho Heo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최상훈(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Sang-Hoon Choi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선진(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Sunjin Lee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조성준(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 Seong-Jun Cho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Center,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