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체 활동을 통한 그릿(grit) 형성 환경 탐색 KCI 등재

Exploring Grit Forming Environment in Physical Ac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서 탁월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그릿(grit)이 형성되는 사회심리환경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릿을 기르는 체육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6학년도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인 3개 종목 28명의 연구참여자들로부터 개방형설문지, 포커스면담, 개인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Charmaz(2006)의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교스포츠클럽에서 그릿을 형성하는 학습 환경으로 동기, 목표관리, 과제와 연습, 교사, 어려움 극복, 분위기로 나타났다. 신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그릿을 기르기 위해서는 호기심을 지속적인 흥미로 전환해야 하며 연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정의적 문제나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 연습 방법의 다양화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풍부하게 하며 목표지향적 학습 환경은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동기화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학교 체육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 단원 설계, 학습에 대한 준비도, 소통형 학습 풍토 형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in students who have fulfilled their achievements in school sports clubs and to suggest how physical educators can improve grit through physical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pen questionnaire,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from 28 research participants who won 2016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in three activit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Charmaz(2006). Results: Six categories emerged: ‘motivation’, ‘goal management’, ‘task and exercise’, ‘teacher’, ‘overcoming crisis’, and ‘atmosphere’. To raise students' grit through physical activity, curiosity must be turned into ongoing interest. Cognitive-affective problems and conflicts that arise in the practice process were the key issues to resolve. Diversifying practice methods enriches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Goal-oriented learning environment enables students to motivate themselves continuously and overcome crisis. Conclusion: In order to apply these research findings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view instructing phys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capacity, unit design, preparation for learning, and building communicative learning climate.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 참여 학교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및 진실성확보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신체활동에서 그릿을 형성하는 여섯 개의조각 모으기
  2. 조각 맞추기를 통한 그릿 형성 환경 발견하기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한상모(아미초등학교) | Sangmo Han (Ami Elementary School)
  • 유생열(경인교육대학교) | Seangleol Yo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