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잠재적 곰-인간 충돌지역에서 반달가슴곰 출현 양상

Appearance Patterns of Asiatic Black Bear in Potential Human-Bear Conflict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056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은 20세기 초까지 한반도에 상당 수 분포하였으나, 산업화로 인한 서식지 소실과 밀렵, 포획 등으로 절멸위기에 처하였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개체군의 절멸을 방지하고 자체 생존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2004 년부터 시작되었다. 개체 도입․방사와 출생 지리산 복원 개체군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일부 자연분산 현상이 관찰되고 있어, 지속적인 서식지역 확대와 사람과 곰의 조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리 산 일원의 반달가슴곰과 사람의 잠재적인 충돌 가능 지역 주변에서 활동 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분석과 통계분석은 2015년부터 2017 년까지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일일 무선위치추적을 통해 수집된 반달가슴곰 20개체(female, n=9; male, n=11)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였다. 반달가슴곰 출현 지점으로부터 거주지역과의 거리, 농경지(과수원, 기타재배지, 논, 밭, 시설재배지, 하우스)로 부터의 거리, 정규 탐방로와의 거리, 사찰로부터의 거리 등 총 4가지로 구분하여 암-수성별, 계절별(봄, 여름, 가을) 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잠재적인 충돌 위험 지역과의 거리를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과의 거리는 암컷이 수컷보다 더 가까운 경향을 보였고, 암-수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농경지와의 거리, 정규 탐방로와의 거리, 사찰과의 거리 등은 암-수 사이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농경지와의 거리, 정규탐방로와의 거리, 사찰과의 거리 모두 수컷이 암컷보다 더 가까 운 지점까지 접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양상을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과의 거리, 농경지와의 거리, 그리고 사찰과의 거리는 여름철에 가장 가까운 경향을 보였고, 정규 탐방로와의 거리는 가을철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인간의 활동 영역에 접근하는 반달가슴곰의 성별, 계절별 행동 양상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지리산 지역에서 곰-사람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 김태욱(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Tae-Wook Kim
  • 채승훈(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Seung-Hoon Chae
  • 김정진(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Jeong-Jin Kim
  • 김종백(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Jong-Baek Kim
  • 손대삼(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Dae-Sam Son
  • 최현기(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Hyeon-Ki Choi
  • 김만우(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Man-Woo Kim
  • 최주열(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Ju-Youl Choi
  • 박영일(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Young-Il Park
  • 박석호(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Seok-Ho Park
  • 한상현(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Sang-Hyun Han
  • 정대호(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Dae-Ho Jeong
  • 정승준(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Sung-Jun Jung
  • 송동주(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Dong-Joo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