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KCI 등재후보

Fat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에서 유아의 정체성 교육의 일환으로 역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자녀에게 유의미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이 유아역사교육에 대하여 인식하는 바와 이에 대한 교육의 실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은 어떠한가?,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교육실제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J시의 만 3-5세 유아 아버지 348명을 선정하여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권이정과 김나림(201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은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역사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았다. 역사교육의 실시 시기로는 만 6~7세가 가장 많았으며 답사나 실물교육을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역사교육의 실제로, 아버지들은 대부분 가정에서 역사 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명절이나 놀이를 통해 교육을 하고 인터넷 컨텐츠를 참고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들은 온라인 형태의 역사교육을 받는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아버지를 위한 역사교육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아의 올바른 역사적 태도와 가치관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at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1) What is fathers’ perception toward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2) What is the practice of the fathers to educate history for young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348 person of children ages 3-5 by using ‘the Questionnaire of Fat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recognized that history education was necessary, and their interest and knowledge on history were high. Ages 6-7 were selected as the most appropriate time to start history education. Second, most of the fathers in the histo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ere carrying out the historical activities at home, teaching through the holiday or play, and referring to the internet contents. Also, fathers were hoping to receive online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father,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rrect historical attitude and value formation of young children.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III. 연구결과 및 해석
  1.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2.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교육 실제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남림(전주비전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나림
  • 권이정(공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Kwon Yije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