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련초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효과 KCI 등재

Antioxidant, Antiaging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clipta prostr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6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한련초는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국화과 한련초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살무사 독에 대한 해독효과, 항산화효과, 발모효과, 상처치유효과 등의 효능들이 확인된 바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련초의 항산화 및 항노화효과를 확인하여 피부보호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련초를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이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지표인 FSC50과 OSC50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OSC50은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보다 2.7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시료의 세포 내 활성산소 종 소거능과 H2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1O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지연효과의 평가에서 64 μ g/m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적혈구 광용혈의 소요시간을 6배 이상 지연시켜 한련초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반영해주었다. 한련초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s68에서 추출한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16 μ g/mL의 두 시료 모두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각각 6.8%와 14.0% 억제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련초가 식품 또는 화장품 등의 소재로 사용됨에 있어 화학적 방부제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항균실험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그람 양성 균주 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mehyl paraben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난 항균활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한련초는 피부보호 소재 또는 천연방부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천연소재라 생각되며,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An annual plant, Eclipta prostrata (Linn) is a member of the Asteraceae plant family and inhabited in tropical or sub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Through many previous researches, E. prostrata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its hepatoprotective effect, antivenom potential against viper venom, antioxidant, hair-growth, wound-healing efficacy and so on. In this stud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E. prostrata as skin protectant, we conducted the experiments evaluating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icacy. To this end, 50% ethanolic extract of E. prostrata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For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the samples, FSC50 and OSC50 were estimated. As a result, OSC50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2.7 times superior to OSC50 of L-ascorbic acid, a well known antioxidant agent. Futhermore E. prostrata showed notabl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coueffect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 in the celluar level as well. Especially, in the 1O2 induced hemolysis test, 64 μ g/mL of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greater than 6 times increased retardation effect compare to control which means E. prostrata has remarkable antioxidant capacity. To validate the antiaging effect of the samples, we conducted elastase inhibition assay using elastase solution extracted from human skin fibroblasts, Hs68. As a result, 16 μ g/mL of each sample showed 6.8% and 14.0% of elastase inhibition respectively. Finally, antimicrobial activity of E. prostrata was assessed to validate the possibility as alternative preservative. From the result,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oustanding antimicrobial activity as of methyl paraben, a well known chemical preservativ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 prostrata can be used as natural skin protectant or preservative as natural ingredient in food or cosmetics industr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약 및 기기
  2.2. 한련초 추출 및 분액
  2.3. DPPH 라디칼 소거활성
  2.4. Fe³+-EDTA/H₂O₂계에서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2.5. 세포배양
  2.6. 세포독성평가
  2.7. 세포 내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2.8. H₂O₂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2.9. Hs68을 이용한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2.10. 적혈구 현탁액
  2.11. ¹O₂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
  2.12. 항균활성평가를 위한 사용균주, 배지 및 배양조건
  2.13. 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한 항균활성 측정
  2.14. MIC 측정
  2.15.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
  2.16. LC/ESI-MS를 이용한 성분 분석
  2.17. 통계분석
 3. 결 과
  3.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3.2.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³+-EDTA/H₂O₂계에서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3.3. 세포독성평가(HaCaT)
  3.4. 세포 내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3.5. H₂O₂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3.6. Hs68를 이용한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평가
  3.7. ¹O₂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
  3.8. 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한 항균활성 측정
  3.9. MIC 측정
  3.10. 성분분석
 4. 고 찰
 5. 결 론
 Reference
저자
  • 이상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ang Lae Lee (Department of Fine Chemistry, Cosmetic R&D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송바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Ba Reum Song (Department of Fine Chemistry, Cosmetic R&D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신혁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Hyuk Soo Shin (Department of Fine Chemistry, Cosmetic R&D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윤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Yun Ju Lee (Department of Fine Chemistry, Cosmetic R&D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수남(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oo Nam Park (Department of Fine Chemistry, Cosmetic R&D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