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 Evaluation Tool to Effectively Operate NCS Based College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2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학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로 국내·외 문헌 연구, 검증위원(44) 및 검토·자문위원(5), CVR, FGI, BEI, 양적 및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토·자문위원에 의해 평가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2차례 검증위원의 검증·수정 단계를 거 쳐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요소를 개발하였다. 또한 3차례 검토·자문위원의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를 개발하였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의 영역과 하위 내용을 검증위원 및 검토·자문위원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실시한 결과 모두 .76 이상으로 우수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검증된 평가 체계에 근거하여 3차례 검토·자문위원의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제1차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것을 검증위원을 대상으로 면접과 전자 우편을 통해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제2차(최종)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도구를 개발, 완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 evaluation tools to effectively apply and operate the NCS based colleg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efficiently, we us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verification committee, review and consultant, CVR, FGI, BEI,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component was derived by the review and consultant members,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the NCS based curriculum were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revision steps of the two reviewers. In addition, we reviewed and revised the contents of the three consultations and advisory committee members to develop the NCS based curriculum evaluation system. Second, NCS based curriculum was secured excellent validity than .76 both conducted a feasibility regions and sub-systems to assess the contents of the target verification, advisory committees and review the results. Third, based on the validated evaluation system, the first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by reflecting and revising all three discussions and discussions of the advisors. The second(final) NCS based curriculum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and completed by reflec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through the interview and e-mail.

목차
요 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품질관리(CQI)
  2.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단계별 세부 내용
 Ⅳ. 연구 결과
  1. NCS 기반 교육과정의 평가 구성 요소 도출 및 평가 체계 개발
  2. 검증위원과 검토·자문위원들을 대상으로 평가 체계의 내용 타당도 검증
  3.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평가 도구 개발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동연(한국교원대학교) | Kim Dong-Yeon (Former of NCS Support Center, Kangwon Touris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