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수만, 가로림만 갯벌에서 서식지 적합인자를 이용한 꼬막 적지선정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uitable Site Selection of Blood Clams (Tegillarca granosa) using Habitat Suitability Factors in Tidal Flat, Cheonsu and Garolim Bay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8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꼬막은 갯벌에서 자연 발생, 양성, 수확의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기초적인 서식지 특성 파악과 함께 단계적인 대체 서식 지역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현재 꼬막은 타 종에 비해 자연적으로 발생된 치패의 의존도가 높은 반면, 자연 서식지는 한정적이어서 생물자원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꼬막 적지선정을 위해 천수만에 위치한 창기와 호포, 가로림만의 당산, 사창, 왕산 총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서식지 적합인자를 조사하였다. 환경(Environment)에 관련된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 생존(Survival)에 관련된 니질 함량과 퇴적물 평균입도, 성장(Growth)에 관련된 클로로필a, 총 5가지 서식지 적합인자들의 상관성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가로림만에 위치한 왕산이 꼬막 주요 서식지의 환경 특성 적합도(왕산: 87점, 당산: 86점, 사창: 81점, 호포: 78점, 창기: 73점)가 가장 높았다. 퇴적환경은 천수만에 비해 가로림만이 더 세립 하였고, 계절적인 변동이 낮아 적합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로림만이 꼬막의 잠재적인 적지로 더 적합하며 공간 활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잠재적인 적지 탐색과 선정을 통해 꼬막의 생물자원과 생산량 감소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habitats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habitats due to seeding, culturing and harvesting of blood clams (Tegillarca granosa) in tidal flats. Currently, dependence on naturally occurring spat is much higher than in other species, which may lead to a reduction in biological resources. In this study, we selected a total of 5 sites (Changgi, Hopo in Cheonsu Bay and Dangsan, Sachang, Wangsan in Garolim Bay) and examined habitat suitability factors for suitable site selection. Also, w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of habitat suitability factors (Environment: water content, organic content; survival: mud content, mean size; growth: chlorophyll a). As a result, Wangsan had the highest score of the main habitat of blood clams (Habitat suitability score, Wangsan: 87; Dangsan: 86; Sachang: 81; Hopo: 78; and Changgi: 73). The sediment in Garolim Bay was fine-grained and the seasonal variation was lower than Cheonsu Ba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Garolim Bay is more suitable as a potential area and easy to utilize the space. In the future, search and selection of potential suitable sites could be considered to solve problems caused by the reduc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nd the production for blood clam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조사 지역 및 시기
  2.2 조사방법
  2.3 서식지 적합인자
 3. 결과 및 고찰
  3.1 수질 환경
  3.2 퇴적물 입도 특성
  3.3 퇴적물 평균입도와 유기물 및 함수율의 상관관계
  3.4 꼬막의 서식지 적합인자 비교
  3.5 꼬막의 서식지 적합도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전승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Seung Ryul Jeon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허승(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Seung Heo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
  • 조윤식(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Yoon-Sik Cho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최용현(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Yong-Hyeon Choi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오그림(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 Geu Rim Oh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