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플라스틱 온실의 강관 이음부 휨성능 분석 KCI 등재

Evaluation of Steel-Pipe Connections in Plastic Greenhouse Using Bending T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9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실 강관의 이음 방법에 대해 휨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휨성능이 우수한 이음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보다 휨성능이 작았다. 그러나 모든 실험체의 최대 휨모멘트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소성모멘트의 1.07~1.3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 방법에 따른 결과는 연결핀 보다 인발 실험체가 상대적으로 큰 휨성능을 보였다. 현장 이음 방법의 파괴 모드는 연결핀과 강관 끝부분의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좌굴이 지배적이었다. 현장시공 시 강관을 절단 후 연결할 경우, 이음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휨성능을 발휘하지만 부득이 강관을 절단할 경우는 연결핀보다는 인발 강관에 직결나사로 고정한 이음 방법(SPJ-F)으로 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experimental study performed on steel-pipe connections for structural members of a greenhouse is presented. By those experiments performed, bending moment, deformation and stress distribution of specimens were investigated under four point bending test. The ben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connection method using pin and the stretching i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bending performance of the no connection specimen were compared to those of other connection specimens. The pin and stretching connection specimens showed lower banding performance than the no connection specimen. The stretching connection method was relatively higher bending performance than the pin connection specimen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proposed the connection method with good bending performance that can be applied to steel-pipe connection in greenhous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재료의 특성
  2. 실험체
  3. 실험장치 및 방법
  4. 응력 계산
 결과 및 고찰
  1. 모멘트-회전각
  2. 변형형상
  3. 응력분포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최만권(농촌진흥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시설원예연구소) | Man-Kwon Choi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류희룡(농촌진흥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시설원예연구소) | Hee-Ryong Ryu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
  • 조명환(농촌진흥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시설원예연구소) | Myeong-Whan Cho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유인호(농촌진흥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시설원예연구소) | In-Ho Yu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