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시설별 공간특성 및 디자인특성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Outdoor Space Planning for Apartment Complex -Focused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Each Fac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952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4.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오늘날 공동주택단지는 주거환경 수준의 향상과 주거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이웃 간의 교류, 여가생활 증대,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인해 변화되고 있다. 주거환경의 변화로 외부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은 공동주택의 주거형태 특성상 이웃과의 교제가 부족한 환경과 단위주호 내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 증진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최근 완공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외부공간을 운동시설, 휴게시설, 놀이시설, 조경시설, 위생시설로 구 분하여 사례조사 하였으며 주민들의 커뮤니티시설로서 공간계획특성 및 디자인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운동시설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시설이 계획되어있는 반면 놀이시설이나 휴게시설은 단지별 차이가 없이 획일적인 형태로 계획되어 있어 거주자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각 기능별 시설이 독립적으로 배치된 경우가 많아 복합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거주자들의 교류를 도모할 수 있는 배치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서로 연계성 있게 계획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웃과의 활발한 소통을 위한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계획시 디자인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s apartment complexes are changing due to the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 communication among neighbors and increase of leisure life.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outdoor space has been enhanced. Apartment complexes lack the environment of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The outdoor space of apartment complexes can solve matters that can't solved in the resident. This is also important space to improve social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partment complexes' outdoor space in Seoul. The outdoor space is classified into exercise facility, recreation facility, play facility, landscape facility and sanitation facility. Space characteristics and design are analyzed as community facilities of residents.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hat the exercise facility was planned with various types of facilities, but the play and recreation facilities are uniform typ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are not considered. Especially, they are arranged independently, so integrated community space couldn't be formed.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can't be promoted as well.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공동주택단지의 이론적 배경
 3.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사례분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영훈(인덕대학교 도시환경디자인과) | Kim Young 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