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도서관 공간특성 및 청소년 이용태도 조사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for Adolescents and User’s Attitud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974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4.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현재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시설로의 변화를 도약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활용실태를 보면 공공도서관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획일적으로 계획된 열람공간에서 많은 시간 교과학습을 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 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학습공간은 청소년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의 학습환경 계획방안이 필요하다. 따라 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의 실태와 공간특성 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 이용자의 이용특성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이용공간의 공간배치특성 파악과 평면분석, 청소년이용자의 공공도서관 이용특성을 연구 범위로 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현장방문을 통한 사진촬영과 도면파악을 통해 사례조사방법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의 학습공간인 자료열람실의 평면특성을 살펴보면 자료대출형의 형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료열람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령에 따라 학습환경으로서의 공간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전반적인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의 이용결과로는 주로 학업관련공부를 목적으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과반수로 가장 많았으며 학습공간 이용에 있어 자료실에서의 자유로운 개인학습공간 배치 확대를 선호하였으나 이는 사례조사에서 파악된 바와 같이 현재 자료실에 열람 과 개인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실태를 반영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learning space for adolescents in public libraries requires various forms of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learning spa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ublic libraries by investigating users’ attitud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lan of the space used by adolescents in public libraries and investigated their attitude of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investigation, we visited a public library, took pictures and identified a plan for case study and conducted a survey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lan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space of a public library were mostly material lending types. Therefore, the space for reading materials was found to be lacking.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us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sex and school age of adolescents. Third, adolescents use public libraries primarily for academic work related study. They prefer to expand the free study space in the materials room.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enough room for reading and personal learning in the current materials room.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공공도서관과 청소년 학습환경의이론고찰
 3. 공공도서관 학습공간 사례분석
 4.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에 대한설문조사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장아리(동아대학교 건축학과 실내건축전공) | Chang Ah 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