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roperties of Yakju and pellet Nuruk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KCI 등재 SCOPUS

Aspergillus oryzae을 이용한 pellet 누룩 제조 및 약주의 품질특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20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재래누룩에서 분리 동정한Aspergillus oryzae 83-10(AO)을 활용하여 원료조건에 따른 pellet형 누룩의 특성과 양조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원료의 조건은 10분간 증자하여 살균․호화된 원료(S)가 pellet 누룩의 제조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높은 효소력의 생성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경과 32시간 때에 효소활성이 높고, 포자생성에 의한 포자 날림 등이 없어 작업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제조된 pellet 누룩 S-AO(32시간 배양)과 시판되고 있는 재래누룩 SH의 효소활성(dry base, unit/g)을 비교한 결과, glucoamylase 활성 S-AO(325.92) > SH(297.44), α-amylase 활성 S-AO(421.26) > SH(75.12) 및 acidic carboxypeptidase 활성 S-AO(3,803.8) > SH(278.6)으로 pellet 누룩이 재래누룩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누룩의 일반분석 결과에서는 SH 누룩이 pH, 총산, 아미노산도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약주 양조특성 분석 결과 발효가 끝난 시점에 SH 술덧의 가용성고형물과 총산함량이 S-AO 술덧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S-AO 술덧은 아미노산 함량과 알코올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 분석결과 S-AO 17.96%, SH 12.66%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어 발효 안정성과 수율에 있어서 S-AO 술덧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발효경과 중 술덧의 효소활성은 누룩의 사용량을 쌀 사용량(g)×30 unit/g(glucoamylase)으로 효소활성 수치에 따라 달리 하였지만 그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술덧제조 직후 S-AO 26.69 unit/mL, SH 17.58 unit/mL으로 S-AO 시료는 비교적 근접한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SH 시료는 상당량 부족한 모습을 보여 이러한 결과는 누룩의 품질 균일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결과로 살균된 통밀을 pellet형 누룩으로 가공하여 국균을 배양하면 기존 재래식 누룩이나 입국에 비하여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제조효율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spergillus oryzae 83-10 (AO) was inoculated in a wheat pellet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aw materials to produce Nuruk. The sterilized raw material (S) was found to be stable in the production of pellet-Nuruk and wa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high enzyme power; high enzyme activity was obtained after fermentation for 32 h. The characteristics of pellet-Nuruk were investigated and the brewing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mercial SongHak (SH) Nuruk. The enzyme activities (dry base, unit/g) of S-AO (sterilized material and inoculated with A. oryzae) pellet-Nuruk (32 h culture) and the commercial SH Nuruk were compared. The activities of glucoamylase, α-amylase, and acidic carboxypeptid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O Nuruk. In terms of brewing characteristics, the soluble solid (°Brix) and total acid (%)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H mesh, and the amino acid content and alcohol content (%)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O mesh. The amount of Nuruk added for yakju fermentation was set at 30 unit/g × g of rice weight based on the glucoamylase activity. The enzymatic activity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was 26.69 unit/mL and 17.58 unit/mL for S-AO and SH,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preparing pellet-type Nuruk should considerably save fermentation time compared with traditional Nuruk product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저자
  • Yong-Suk Kim(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용석
  • Eui-Hyoun Jung(Fermeted Food Sience Division, Department of Agrogood Resources, NAAS, RDA) | 정의현
  • Jin-Ah Jeon(Fermeted Food Sience Division, Department of Agrogood Resources, NAAS, RDA) | 전진아
  • Soo-Whan Yeo(Fermeted Food Sience Division, Department of Agrogood Resources, NAAS, RDA) | 여수환
  • Seok-Tea Jung(Fermeted Food Sience Division, Department of Agrogood Resources, NAAS, RDA) | 정석태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