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시업이 일본잎갈나무 임분의 생장과 직경분포모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s of Forest Management Activity on Growth and Diameter Distribution Models for Larix kaempferi Carriere Stand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38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에 대해 산림시업 수행이 직경분포변화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중 시업지 232plots, 비시업지 47plots의 고정표본점 자료를 활용하였다. 직경분포모델은 Weibull 누적분포함수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에는 백분위(Percentile)에 근거한 직경모형추정, 백분위(Percentile)에 대한 모수복구 방법을 사용 하였다. 개발한 모델을 이용하여 산림시업의 수행여부에 따른 시나리오(임령, 지위지수, 임분밀도) 별 임분생장량을 예측한 결과, 시업지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차지하는 평균 흉고직경의 이동이 비시업지 임분에 비해 이동량과 생장량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경목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시업지 임분이 높게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경급에 따른 목재생산량의 장기적인 예측과 동적인 임분구조 해석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forest management activity on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Larix kaempferi Carriere stands in South Korea. We used 232 managed stands data, 47 unmanaged stands data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for this study. We employed the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for estimating diameter based on percentiles and parameter recovery metho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diameter breast height movements and growth of tree in the managed stands higher than the unmanaged stands according to the scenario: age, site index, and tree density change. The finding shows the percentage of the total amount of large class diameter was also high in the managed st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y for the estimation of multi-products of timbers per diameter classes and stand structure development for Larix kaempferi Carriere stands in South Korea.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재료
  3 자료의 분석
 결과 및 고찰
  1 수고생장과 지위지수 추정
  2 직경분포모델 적합성 평가
  3 임분조건에 의한 직경급 임분생장량 예측
  4 시나리오에 따른 임분생장량 예측
 References
저자
  • 이선주(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Sun Joo Le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영진(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Young Jin Le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