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남금북・금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3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 마루금 일대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환경조건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한남금북정맥 2곳, 금북정맥 5곳의 중점조사지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한남금북정 맥은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낙엽성 참나무혼효군락, 잣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잣나무군락 등 8개 군락으로 나눠졌다. 금북정맥의 경우는 굴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상 수리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곰솔-낙엽성 참나무혼효군락, 잣나무군락 등 9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에는 남한의 정맥과 백두대간 마루금 인근에서 폭넓게 분포하는 신갈나무와 소나무를 우점종으로 하는 조사구의 비율이 높았다. 일부 조사구에서 조림된 밤나무와 잣나무가 출현해 과거 인간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 대부분의 지역에 인간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중점조사지역 중 금북정맥에 해당하는 가야산지역은 해양성기후와 대륙성기후가 교차되는 지역으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곰솔이 출현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by selecting 7 sites(2 sites at Hannamgeumbuk-Jeongmaek and 5 sites at Geumbuk-Jeongmaek)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rtificial influences and conducting the vegetation survey in the selected site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based on TWINSPAN categorized the vegetation at Hannamgeumbuk-Jeongmaek into 8 groups: Quercus variabilis-Q.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Q.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 densiflora-Q. mongolica-Q. variabilis community, P. densiflora-Deciduous oaks community, P. koraiensis community, Q. mongolica-Q. variabilis community, and Larix kaempferi-P. koraiensis community. It also categorized the vegetation at Geumbuk-Jeongmaek into 9 groups: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Q. mongolica-Q. variabilis community, Q. acutissima community, P. densiflora-Q. acutissima-Q. variabilis community, P. densiflora-Q. mongolica-P. rigida community, P. densiflora-P. thunbergii-Deciduous oaks community, and P. koraiensis community. Two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idges of the Jeongmaeks and Baekdudaegan in South Korea, were dominant in many of the surveyed sites. The appearance of planted Castanea crenata in some plots, although not in high population, suggests human intervention in most regions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in the past. The Gayasan area, which is part of the Geumbuk-Jeongmaek and where the maritime climate and continental climate overlap, showed Pinus thunbergii, reflecting the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조사지 개황 및 군집분석(classification analysis)
  2. 군락별 상대우점치 및 흉고직경급별 분석
  3. 연령분석
  4. 종다양도 및 종수, 개체수
  5.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Hyun-Mi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National Univ.)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Seok-Gon Park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