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둔산도립공원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안심사 일대를 중심으로- KCI 등재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 Focusing on Ansim Temple Are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3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대둔산도립공원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도립공원 내 42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²)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류방법 중 TWINSPAN기법과 DCA기법을 사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갈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신갈 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각 군락별 우점종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나, 소나무 군락의 경우는 참나무류와의 경쟁관계에 있어 산림천이적 양상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흉고직경급별 분석 결과, 우점종간 중・대경목이 많이 관찰되어 군락이 안정된 구조를 갖추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별한 물리적환경의 변화나 중대한 교란, 병충해 발생 등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상층수관을 우점 하는 종들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륜 및 생장량 분석결과 우점하는 교목층의 경우 평균 40년 이상의 수령을 보였으며, 연평균 생장량은 군락Ⅰ의 굴참나무가 3.51±2.39mm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Ⅶ의 신갈나무가 1.61±0.90mm로 가장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by setting up and surveying 42 plots (100 m²). The analysis using the TWINSPAN and DCA techniques found seven community groups: Quercus aliena community, Larix kaempfer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results of a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each community were likely to maintain the present structure, but, in the cas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forest succession because of the competition with oak trees. The results of the DBH (diameter of breast height) analysis showed that the species in DBH 20-24cm and over 26cm were many observed, indicating that the communities were becoming stable. It is likely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canopies will maintain their state unless the unexpected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serious disturbance, pests or diseases occur. The results of the tree rings and annual growth analysis showed that the dominant trees had an average age of more than 40 years. The average annual growth was the highest for Quercus variabilis in communityⅠat 3.51 ± 2.39 mm and the lowest for Quercus mongolica in community Ⅶ at 1.61 ± 0.90 mm.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군락분류 및 유사도지수 분석
  2. 군락별 대상지 개황
  3. 식생구조 분석
  4. 종수 및 개체 수, 종다양도 분석
  5. 흉고직경급별 분석
  6. 연륜 및 생장량 분석
  7.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유승봉(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eung-Bong Y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 교신저자
  • 박석곤(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Seok-Gon Par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 강현미(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Hyun-Mi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 이상철(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박사후연구원) | Sang-Chul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
  • 심항용(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ang-Yong Sh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
  • 송광섭(스페이스웨어(주)) | Kwang-Sub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