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과 부위별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KCI 등재

Antioxidant Component and Activity of Different Part Extracts in Apple (Malus domestica cv. Fuj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4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과 과육과 사과 주스제조시의 부산물인 사과박 그리고 사과 껍질을 건조한 후 용매별로 추출하고, polyphenol 화합물, flavonoid, ascorbic acid 및 ursolic acid 등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최적의 용매 및 부위를 선정하고 제품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100%의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함량이 높았고, 특히 사과 껍질에서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사과 껍질에서가 과육 또는 사과박에 비해 약 3~8배가량 그 함량이 높았으며, 70% ethanol을 용매로 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사과 껍질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사과박, 과육의 순이었다. Ascorbic acid의 추출 용매로는 물보다는 70%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가 ascorb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rsolic acid의 함량에서는 사과 과육에서는 물과 ethanol 추출 시 ursolic acid 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과박 및 사과 껍질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검출되었으며, 그 함량은 껍질에서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 70%의 ethanol 추출 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라디칼 소거능에 비하여 약한 활성을 나타내어 사과에서의 항산화 활성은 금속이온 제거능보다는 라디칼 소거능이 높고 사과 껍질이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improve the utility of apple, apple flesh (Malus domestica cv. Fuji), pomace and peels were dried and then extracted using solvents (water, 70% and 100% ethanol). The contents of polyphenols, flavonoids, ascorbic acid, ursol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as extracted from the apple flesh, pomace and peel. The content of polyphenols was the highest in the apple peel when 100% ethanol was extracted. The content of flavonoids was about 3~8 times higher in apple peel than those of flesh and pomace, and 70% ethanol extract was the highest content. Ascorb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apple peel as well as flavonoid content. The content of ursolic acid in the apple flesh was not detected in water and ethanol extraction. In the case of apple pomace and peel, ursolic acid was not detected in water extract but it was detected when ethanol was extracted. The content of ursolic acid was highest in the apple peel. In the case of antioxidative activ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the highest ability when apple peel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Polyphenol 화합물 함량
  3. Flavonoid 화합물 함량
  4. Ascorbic acid 함량
  5. Ursolic acid 함량
  6. 항산화 활성
  7.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Polyphenol 화합물 함량
  2. Flavonoid 화합물 함량
  3. Ascorbic acid 함량
  4. Ursolic acid 함량
  5. 항산화 활성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경행(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Kyung-Haeng Lee (Dept. of Food and Nutri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rresponding author
  • 윤예지(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Ye-ji Yoon (Dept. of Food and Nutri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권혜원(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Hye-Won Kwon (Dept. of Food and Nutri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이은현(㈜미소성) | Eun-Hyun Lee (Misosung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