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주스의 휘발성 향기성분 KCI 등재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Pear Juice (Pyrus pyrifolia cv. Niitak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4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식품의 향기성분은 다른 주성분에 비해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풍미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색, 조직감과 더불어 식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는 SPME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산고 품종 배주스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향기성분을 확인 및 동정하였다. 총 22종에 향기 화합물이 분리동정되었고, ester류 7종, aldehyde류 9종, ketone류 2종, alcohol류 1종, acid류 1종, furan류 1종 그리고 함황화합물 1종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hexanal, ethyl hexanoate, ethyl 3-(methylthio)-2-propenoate, ethyl octanoate and 2-hexenal이 배주스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ethyl acetate의 함량이 13.36~19.60 μg/k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검출되어 전체 향기성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향기성분의 변화를 억제 및 추출능력 향상을 위해 분석용 시료에서 포화 염화칼슘 용액을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고, 착즙직후 바로 염용액으로 처리한 배주스에서 aldehyde류, acid류, furans류 및 s-compounds류은 유의적인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배 원물의 품질저하 혹은 가공으로 발생한 향기 변화를 보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배주스를 활용한 가공식품의 향 품질을 향상시켜 고부가가치 가공식품을 개발하여 배의 소비 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hingo pear juic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effect of inorganic salts solution on the extraction ability of the SPME fiber was treated by adding saturated CaCl2 solution at the ratio of 1:20 (v/v) after 0, 60, 120 min of preparing pear juice, respectively. As a result, a total of 22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Shingo pear juice. Ethyl acetate was found to be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 (13.36~19.61 μg/kg), followed in order by hexanal, ethyl hexanoate, ethyl 3-(methylthio)-2-propenoate, ethyl octanoate and 2-hexenal. Total content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31.07 μg/kg (control), 40.93 μg/kg (0 min), 27.62 μg/kg (60 min) and 26.32 μg/kg (120 min).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saline solutions could inhibit the enzymatic reac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effectively when treated as soon as juice preparati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 재료
  2. 이화학 실험
  3. 휘발성 향기성분의 추출
  4.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5. 휘발성 향기성분의 동정
  6. 휘발성 향기성분의 정량
 결과 및 고찰
  1. 이화학 품질 특성
  2. 휘발성 향기성분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미영(㈜아워홈 식품연구원) | Mi Young Kim (Food Research Institute, OURHOME Co., Ltd.)
  • 서원호(㈜아워홈 식품연구원) | Won Ho Seo (Food Research Institute, OURHOME Co., Ltd.)
  • 황영(㈜아워홈 식품연구원) | Ying Huang (Food Research Institute, OURHOME Co., Ltd.)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