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통 식약공용농산물 중 비의도적 유해물질 오염도 조사 KCI 등재

Investigation of Unintentionally Hazardous Substance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4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대형유통매장 및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식약공용농산물 중 다소비 13품목 117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과 아플라톡신(B1, B2, G1, G2)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납 함량 분석 결과 117건 모두 기준(5 mg/kg이하) 이내로 검출되었고, 납의 검출량을 살펴보면 백출, 오가피, 갈근, 당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드뮴 함량 분석 결과 2.6%가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카드뮴 기준 초과한 시료는 갈근 2건, 백출 1건이고, 검출량은 갈근 2건에서 각각 2.150 mg/kg, 1.822 mg/kg(기준 0.3 mg/kg 이하)이었고, 백출이 1.130 mg/kg(기준 0.7 mg/kg 이하)이었다. 조사한 13품목 중 백출, 갈근, 당귀, 길경 등 뿌리 및 뿌리줄기 부위를 사용하는 식약공용농산물의 카드뮴 오염도가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비소 함량 분석 결과 ND~0.610 mg/kg의 검출범위를 나타내어 조사한 시료 모두 비소 기준(3 mg/kg 이하)에 적합하였다. 품목별 비소 함량 비교 결과 당귀가 평균 0.162 mg/kg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수은 함량 분석 결과 ND~0.0139 mg/kg으로 검출되어 식약공용농산물의 수은 오염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식약공용농산물의 아플라톡신(B1, B2, G1, G2) 오염도 조사 결과 1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갈근에서는 아플라톡신 G1이 검출되었고 감초의 경우 2건 모두 아플라톡신 G2가 검출되었다. 당귀는 검사한 10건 모두 아플라톡신 G1, B2가 동시에 검출되었다. 식약공용농산물 13품목 중 갈근, 백출, 감초, 당귀와 같이 뿌리부위를 사용하는 품목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및 아플라톡신(B1, B2, G1, G2) 검출률이 높게 조사되었다. 식약공용농산물의 안전한 유통 및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비의도적 유해물질에 대한 수거·검사 확대 실시를 통해 부정불량 제품의 유통을 차단하고,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준규격 설정 검토 등의 품질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eavy metals (such as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and aflatoxin (such as B1, B2, G1 and G2)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The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were measured by the ICP-MS and a mercury analyzer. The aflatoxins were analyzed by a HPLC-florescence coupled with photochemical derivatization. The detection ranges of the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were found to be 0.006~4.088 mg/kg, 0.002~2.150 mg/kg, ND~0.610 mg/kg and ND~0.0139 mg/kg respectively. Among the total samples, the 3 samples (2.6%) were not suitable for the specification of cadmium by the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13 samples of the total 117 samples were aflatoxin positive (11.1%). The amount of aflatoxin G1 was 0.7834 μg/kg in the Puerariae Radix and aflatoxin G2 were 0.3517 μg/kg, 0.4881 μg/kg in two samples of the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respectively. The aflatoxins B2 and G1 were simultaneously detected in the 10 Angelicae Gigantis Radix. The detection ranges of aflatoxins B2 and G1 were 0.2324~1.0358 μg/kg and 0.7552~1.6545 μg/kg respectively in Angelicae Gigantis Radix.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for the proactive management of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safety.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시료
  시약 및 표준용액
  시료의 전처리 및 기기분석(납, 카드뮴, 비소)
  시료의 전처리 및 기기분석(수은)
  시료전처리 및 기기분석(아플라톡신(B1, B2, G1, G2))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회수율
 Results and Discussion
  검출 및 정량한계, 회수율(납, 카드뮴, 비소, 수은)
  검출 및 정량한계, 회수율(아플라톡신(B1, B2, G1, G2))
  식약공용 농산물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
  식약공용농산물의 아플라톡신(B1, B2, G1, G2) 함량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서미영(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Mi-Young Seo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Correspondence to
  • 김명길(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Myung-Gil Kim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 김재관(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Jae-Kwan Kim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 장미경(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Mi-Kyung Jang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 이유나(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Yu-Na Lee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 구은정(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Eun-Jung Ku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 박광희(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Kwang-Hee Park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
  • 윤미혜(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첨가물분석팀) | Mi-Hye Yoon (Gyeonggi-Do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Food Additives Analysis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