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과 생활의 균형(WLB) 지각이 잡 크래프팅 (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 적응적 행동의 매개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Perception on Job Crafting - Mediating Role of Adaptive Behavior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502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8.25.5.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오늘날 다수의 조직에서는 인적자원관리의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구성원의 일에 대한 정체성 변화와 함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간에 능동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가는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행동이 요구된다. 잡 크래프팅은 구성원이 직무설계 및 사회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추하게 한다. 조직구성원의 WLB 지각과 잡 크래프팅에 대해 관심을 갖는 개인과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두 변인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제한되어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WLB 지각이 적응적 행동을 매개로 하여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실증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국내 기업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87부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에서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WLB 지각, 적응적 행동, 잡 크래프팅의 변인으로 구분된다. 잡 크래프팅은 Tims, Bakker, & Derks(2012)가 개발한 4가지 구성요인, 즉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decreasing hindering job demand)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응적 행동이 WLB 지각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응적 행동은 WLB 지각과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 및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perception on job crafting behavior. Additionally, it were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perception and job crafting behavior would be mediated by adaptive behavior. Based on related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487 employees in domestic companies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WLB perception, adaptive behavior, and job crafting. Job crafting contained four components that Tims, Bakker, and Derks (2012) developed: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and decreasing hindering job demand.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adaptive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LB perception and job crafting. In other words, adaptive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WLB perception and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and decreasing hindering job dem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work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도출
  1. WLB 지각
  2. 적응적 행동
  3.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4. WLB 지각과 잡 크래프팅 및 적응적 행동의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 연구대상
  3. 동일방법편의의 검증
 Ⅳ. 실증분석결과
  1.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2. 상관관계
  3. 가설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정미(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Lee Jung Mi
  • 강희경(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Kang Hee Kyung 교신저자
  • 최수형(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Choi Su He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