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정행정조직 유관기관 운영 활성화 방안 KCI 등재

Operation activation plan of a related organization to the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5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교정행정조직의 발전방향을 제고하기 위해 유관기관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정행정조직과 유관기관은 상호 호혜적인 자원체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직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조직이론에 대해 검토 하였다. 또한 교정행정조직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유관기관들의 현황, 설립 목적, 운영 방식, 기관의 특징, 기관 보유 자원 등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정행정조직과 유관기관간의 업무활성화를 위해 조직 간 상호협력 메카니즘에 기반 한 의사소통과 자원에 대해 초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유관기관 유형 구분의 기준과 교정행정기관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유관기관의 세부적인 역할 분류, 지정 대상 및 목적을 보다 명확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교정행정조직의 구체적 서비스 전달 체계 모형의 개발은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업무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교정행정의 효율성 증가와 다양한 위기상황 대처에 관한 대응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activ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to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o enhance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its related organization are a mutually supportive resource system. In this respect, organization theories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activation. Also, the statuses, foundation purposes, operational methods,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hat formed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ere analyzed. To activate the works between the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ir related organizations, communication and resources were discussed based on a mutual collaborative mechanism.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ndicates that there is a requirement to clearly define the detailed classifications of roles, subjects and the purposes of an assignment in the related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criteria of the related organization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an objective service delivery system model with regard to these correc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nables collabor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ir jobs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actively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corrective administ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enhancing the reactive capabilities on a variety of crisis situations.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1. 현대사회의 조직
  2. 현대교정행정조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크
  3. 조직과 사회 자본과의 관계: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한 사회자본
 Ⅲ. 교정행정조직과 유관기관에 대한 분석
  1. 교정행정조직 구조
  2. 교정행정조직과 관계 조직
  3. 교정행정조직 사회복귀과 소관 단체 근거법 및 법인현황
 Ⅳ. 교정행정조직 발전을 위한 유관기관 활성화 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양혜경(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Yang Haekyung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