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역에서 사료용 벼와 동계작물을 연계한 조사료 생산 체계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Forage Cropping System Linked to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 in Southern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남부지역 논에서 사료용 벼와 월동작물은 연계하여 연간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용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수원 605호, 영우, 목우 품종을 이용하였으며 월동작물로 호밀(곡우), IRG(그린팜) 그리고 트리티케일(조성)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작물은 표준재배법을 이용하여 재배하였으며 사료용 벼의 수확은 품종별로 출수 약 30일후에 실시하였다. 월동사료작물의 초장은 호밀이 가장 컸으며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함량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가 가장 낮았으며 트리티케일이 평균 29.4%로 가장 높았다. 건물 수량은 호밀이 가장 높았으며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가치는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초종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호밀은 다른 초종에 비해 CP, IVDMD, TDN 및 RFV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사료용 벼 출수기는 수원 605호가 가장 빨랐으며 목우가 가장 늦었다. 건물함량은 목우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건물생산량은 평균 18,484kg/ha로 품종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가치에 있어는 목우의 조단백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TDN 및 RFV 값은 목우가 가장 높았다. 연간 생산성 평가에 있어서는 호밀-수원 605호가 86,741kg/ha로 가장 높은 생초수량을 나타내었으며 건물수량도 26,515kg/ha로 가장 높았다. 트리티케일과 IRG도 수원 605와의 작부체계시 건물 및 TDN 생산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남부지역에서의 사료용 벼를 이용한 연중 사료작물 생산체계시 수원 605호와 호밀 (곡우) 조합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nual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region in Korean peninsular. Whole crop rice (WCR) varieti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Suwon 605, Yeongwoo, and Mogwoo br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and Rye (Gogwoo), Italian ryegrass(IRG, Greenfarm) and Triticale (Choseong) were used as winter crops. Each crop was cultivated using the standard cultivation method and harvesting of whole rice was carried out about 30 days after heading date. The dry matter (DM) content was the lowest in Italian ryegrass (p<0.05), and the highest value was 29.4% in triticale.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the highest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rage quality among seeding time of each species, bu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p<0.05). In particular, rye showed lower CP, IVDMD, TDN and RFV values than other species. The average dry matter production of whole crop rice was 18,484 kg/h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ultivars (p>0.05).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Mogwoo than other and TDN and RFV values were the highest in Mogwoo. In the annual productivity evaluation, combination of rye-Suwon 605 showed the highest DM yield at 26,515kg/ha.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of Suwon 605-rye (Gogwoo) was the most effective cropping system for annual forage production using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r.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동·하계 작물의 재배
  2. 기상상황
  3. 동·하계 작물의 생산성 조사
  4. 사료가치 분석
  5.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1. 동계 사료작물의 재배
  2. 사료용 벼의 재배
  3. 연간 생산성 평가
 Ⅳ. 요 약
 Ⅵ. REFERENCES
저자
  • 김종근(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Jong Geun Kim (Graduated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SNU, Research Institute of Eco-friendly Livestock Science, GBST, SNU) Correspondingauthor
  • 유창(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Chang Liu (Graduated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SNU)
  • 조국강(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Guoqiang Zhao (Graduated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SNU)
  • 김학진(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Hak Jin Kim (Research Institute of Eco-friendly Livestock Science, GBST, SNU)
  • 김맹중(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Meing Joong Kim (Research Institute of Eco-friendly Livestock Science, GBST, SNU)
  • 김천만(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Cheong Man Kim (Research Institute of Eco-friendly Livestock Science, GBST, SNU)
  • 안억근(국립식량과학원) | Eok Keun Ah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