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채소 접목묘 일본 선박 수출 현황 및 수송 환경 분석 KCI 등재

Current Status of Vegetable Grafted Seedling Shipping Export to Japan and Analysis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8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농산물 검역통계를 통해서 채소 모종 수출 현황과 채소 접목묘의 일본 선박 수송 시의 온도 및 상대습도 변화를 분석하여 국내 채소 모종 수출 연구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7~2016년 사이 수출된 채소 모종은 배추, 양배추 등 엽채류 4종, 토마토, 오이 등 과채류 7종, 근채류 1종으로, 전세계 20여 국가에 46,146,536주(총 1,839건) 수출 되었다.
상업적 목적을 위한 채소 모종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이었고, 2016년 기준 일본에 수출된 모종은 주로 과채류 접목묘인 가지, 토마토, 오이, 수박 및 고추 등으로 총 2,575,446주가 수출되었으며, 총 수출 금액으로는 0.7~1.6백만불로 추산된다
일본으로 수출되는 접목묘는 도시농업용과 농가용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온도 15~18oC의 냉장 컨테이너를 이용한 선박 수송은 포장 → 선적 → 검역(한국 부산항) → 검역(일본 시모노세키항) → 바이어 수령의 과정으로 대략 24시간 내외가 소요되고 있었다.
일본의 도시농업 발달로 인한 채소 모종 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러시아 등 인근 국가들의 채소 접목묘에 대해 높아지고 있는 관심과 수요는 우리나라 채소 접목묘 수출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채소 모종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정확한 채소 모종수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수출 전용 모종 생산, 모종 저장 및 수송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vegetable seedlings export research and policy establishment by analyzing vegetable seedlings export status from the agricultural quarantine statistics in Korea and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the vegetable seedlings shipping export transportation to Japan. From 2007 to 2016, various vegetable seedlings such as cabbage, tomatoes, cucumber, onion and etc., have been exported to more than 20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main exporting country of vegetable seedlings for commercial purposes is Japan, and the major exported seedlings to Japan in 2016 were fruit vegetable grafted seedlings such as eggplant, tomato, cucumber, watermelon and pepper. Total export amount of the fruit vegetable seedlings to Japan in 2016 were 2,575,446 seedlings and it is approximately 0.7 to 1.6 million dollars. The grafted seedlings exported to Japan were consumed for urban agriculture and farm use. Shipping transportation took about 24 hour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package → shipment → quarantine (Busan port) → Quarantine (Japan Shimonoseki Port). The growing demand for vegetable seedlings due to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in Japan and the growing interest and demand for vegetable grafting seedlings in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Russia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export size of Korean vegetable grafting seedlings. In order to expand the export of vegetable seedling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nsure further active government policy and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export seedlings, seedlings storage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analysis of exporting countries’ market informati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채소 모종 수출 현황 분석
  일본 수출 채소 모종 생산 특성, 선박 수출 경로 및 수송환경 분석
 결과 및 고찰
  채소 모종 수출국 및 수출 물량 추정
  일본 수출 채소 모종 종류 및 수량
  일본 수출 농림축산식품 채소류 중 채소 모종 비중
  일본 수출 과채류 접목묘 생산 육묘 농가 및 수출 유형
  일본 수출 과채류 접목묘 생산 특성
  채소 접목묘 일본 선박 수출 경로 및 수송 환경 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안세웅(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ewoong An (Horticulture Crop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성겸(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ung Kyeom Kim (Horticulture Crop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진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 Jin Su Lee (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서태철(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Tae Cheol Seo (Horticulture Crop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전희(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Hee Chun (Horticulture Crop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남춘우(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Chun Woo Nam (Horticulture Crop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곽유리나(연암대학교 스마트팜원예계열) | Yurina Kwack (Division of Smart Horticulture, Yonam Colleg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