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실용 들깨의 기계수확에 적합한 최적 파종시기 설정 KCI 등재

An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Sowing Time for a Machine Harvest of Perilla for S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8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근래에 건강 기능성효과가 널리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종실용 들깨의 기계화재배를 촉진하기 위하여 수확 때 종자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고 수량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 파종시기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파종후 개화기까지 생육일수는 짧아져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14일, 26일 및 31~32일 짧아졌으며, 또한 경장과 경태는 짧아지거나 가늘어졌으며 마디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유효분지수는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82%, 61% 및 56%로 7월 15일 파종부터 급격히 낮아져 수량성 확보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최저화방군의 높이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짧아지는데, 소담의 7월 15일과 8월 1일 점파구의 경우 15 cm 이하로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기와 수량성 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총수량은 6월 15일, 6월 30일 및 7월 15일 파종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종실탈립률의 경우 7월 15일, 8월 1일 (30.3%) > 6월 15일(15.3%) > 6월 30일(13.5%) 파종의 순이었는데, 탈립된 종실을 제외한 순수량은 6월 30일 6월 15일 >7월 15일 >8월 1일 파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품종 및 파종방법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4.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유율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증가하여 8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 함유율의 경우 소담은 6월 15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들샘은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리놀렌산의 함량율은 8월 1일 파종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5. 위의 결과, 종실용 들깨의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시기는 6월 30일 경으로 이때 파종하면 수확때 종실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면서 수량증대에 유리하여 기계수확에 가장 적합한 파종시기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promote the mechanized cultivation of perilla for seed, which has been increasing in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recently as demand increases according to the health-functional effects, we carried out this experiment to determine the optimum sowing time of perilla to minimize the seed loss at harvest and increase the yield. We used two different types of perilla varieties, ‘Sodam(smallbranch)’ and ‘Deulsaem(multi-branch)’, and the sowing time was June 15, June 30, July 15 and August 1. As the sowing time is late, days of growth from sowing to flowering were shortened, and they were shortened from 14, 26 and 31~32 days on June 30, July 15 and August 1 as compared with June 15, respectively. And, the stem length and culm diameter were shortened or tapered and the number of nodes tended to decrease. The number of effective branch was 82%, 61% and 56% on June 30, July 15 and August 1 as compared with June 15, respectively. Accordingly, it seems to make against in securing the yield from July 15. And, the lowest cluster height was generally shorter as the sowing time is late, and the height was below 15cm on July 15 and August 1. It seems that this may work against the machine harvest. There was a high degree of significance between the sowing time and the yield. Although, the total yiel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June 15, June 30 and July 15, the ratio of shattering seed at harvest was in order of July 15, August 1(30.3%)> June 15(15.3%)> June 30(13.5%). Therefore, the net yield except for shattered seed was higher in order of June 30≥ June 15> July 15> August 1. This tendency was characteristic regardless of variety and sowing method. And, the protein content in perilla seed increased as the sowing time was delayed, and the content was the highest on August 1. The content of crude fat was relatively high on June 15 and July 15 in ‘Sodam’, and June 30 and July 15 in ‘Deulsaem’,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linolenic acid was found to be the highest on August 1. As a result, the optimal sowing time for machine harvest of perilla for seed is about June 30.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owing time is the most suitable to be advantageous in increasing the yield of perilla seed, while minimizing the seed loss due to the shattering at harvest.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시험방법 및 처리내용
  수확시기 및 종실탈립률 조사
  단백질 및 성분분석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생육특성
  수량 및 품위특성
  종실성분 특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곽강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ang Su Kwak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
  • 한원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Won Young Ha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류종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ong Soo Ryu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배진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in Woo Ba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박진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in Ki Park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백인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In Youl Baek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