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행청소년의 우울과 풍경구성기법(LMT) 반응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Delinquent Adolescents’ Depression and their Response Characteristics to Landscape Montage Techniq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8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우울과 풍경구성기법(LMT) 반응특성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LMT가 비행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는 진단 도구로서 풍경구성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00소년원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우울척도와 풍경구성기법(LMT)을 사용하였다. 풍경구 성기법(LMT) 평가지표는 LMT 시행절차에 근거하여 구성과 채색이라는 관점에서 8개의 전체지표를 설정하고, 구성지표와 채색지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풍경구성기법(LMT)지표와 우울과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지표에서 구성의 통합성은 전체적 통합의 조화와 4-6개 이하의 통합과 조화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고, 공간사용은 90%이상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형태의 사실성에서는 6요소 이하로 표현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묘선의 질은 보통과 불안정으로 표현하는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채색지표에서 채색의 정도는 요소만 칠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채색의 적절성은 6개 이하의 요소를 적절하게 채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색의 수는 0∼9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채색의 안정성은 보통이 높았다. 둘째, 우울수준에 따르는 비행 청소년의 풍경구성법(LMT) 반응특성은 우울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성지표 4개 중에서 통합성, 공간사용, 소묘선의 질에서, 채색지표 4개 중에서 채색의 적절성과 채색의 안정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LMT as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depression in delinquent adolescen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MT response characteristics in delinquent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 juvenile delinquents in the probation office in G city, and depression scale and LM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Based on the LMT implementation procedure, the LMT evaluation index was set up with 8 entire indicators from the viewpoint of composition and coloring, and classified into constituent and color indica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LMT index and depression was analyzed by crossov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ion of composition in the constituent indication showed a similarity between the harmonization of the whole and the integration and harmony of less than 4-6, the use of space was more than 90%, and the rate of expression of less than 6 elements was higher in form reality.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sketch line was similar to that expressed as normal and unstable. The degree of coloring in the coloring index was most frequent in the elements printed only,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loring was most favored when 6 elements or less were appropriately colored. The number of colors was 0 to 9 in many cases, and the stability of coloring was usually high. The use of color mixture showed similar propor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LMT response to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 Among the four constituent indica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propriateness of coloring and stability of coloring among the four coloring indices in the quality of integration, space use, and sketch lin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류정미(광주여자대학교) | Ryu Jung Mi (Gwangju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