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치료사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 요인 KCI 등재

Emotional Labor Factors Affecting Depressive Mood in Occupational Therapi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9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우울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병원 및 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 감정노동과 우울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부정확한 응답 8부를 제외한 21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감정노동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카이제곱 검정 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인 일반적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 변수들을 보정변수로 투입하였으며, 우울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감정노동의 구성요소인 감정노동의 빈도(OR 1.699, 95% CI 1.202-2.401), 감정노동에 대한 주의정도(OR 1.436, 95% CI 1.070-1.928), 감정의 부조화(OR 1.866, 95% CI 1.336-2.607)는 모두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성별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에서(OR 5.736, 95% CI 1.746-18.846), 1일 근무시간에서는 8시간 이하보다 8시간 초과가(OR 8.609, 95% CI 2.306-32.137), 치료 대상자는 성인보다 아동을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에서(OR 4.249, 95% CI 1.668-10.824) 우울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환자와 환자 보호자를 접촉하면서 생기는 감정노동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되어, 작업치료사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예방 활동 및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motional labor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level of their feelings of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ir emotional labor on their depressive mood.
Methods :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hospitals and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and job characteristic variable which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chi-square test was set as the adjusted variable and whether the depression happens or not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fter which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 Components of emotional labor, including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OR 1.699, 95% CI 1.202-2.401),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OR 1.436, 95% CI 1.070-1.982), and emotional dissonance(OR 1.866, 95% CI 1.336-2.607)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men(OR 5.736, 95% CI 1.746-18.846), those working for more than 8 hours per day than less than 8 hours per day(OR 8.609, 95% CI 2.306-32.137), and those working with children than those working with adults(OR 4.249, 95% CI 1.668-10.824).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motional labor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xposed to while interacting with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exerts an influence on their feelings of depression. This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various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to alleviate the depressive symptom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formulating appropriate polic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및 직업적 특성
  2. 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 수준
  3. 작업치료사의 우울감
  4.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에 따른 우울비율 비교
  5. 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오서연(관악구장애인종합복지관 작업치료실) | Oh Seo-Y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ak-Gu Disabled Welfare Center)
  • 구정완(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Koo Jung-Wan (Dep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