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코칭캠프 프로그램 경험 연구 KCI 등재

Coaching Camp Program Experience of Dropout Crisis Adolesc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9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학업중단 위기청소년들의 코칭캠프 프로그램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참여자들이 코칭캠프 프로그램을 통해서 무엇을 경험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고, 그 변화가 참여자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총 8명으로, 2박 3일 간의 코칭캠프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이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115개의 구성의미와 34개의 주제, 12개의 주제군, 3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코칭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업중단 위기청소년들은 캠프 초기에는 양가적인 태도로 캠프에 참여하였고, 편견으로 인해 수동적이고 회피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공감적이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점차 자기개방을 하게 되었고, 그동안 왜곡되었던 사고의 수정과 억눌렸던 부정적인 갈등을 표출하고 처리하는 경험을 하였다.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들은 자신의 존재자체의 소중함을 발견하고 자신감을 찾았으며, 진정한 소통 관계를 경험하면서 대인관계 및 학업과 진로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연구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explores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a Coaching camp program among students in a school dropout crisis. We sought to deepen what participants experienced through the coaching camp program, what changes occurred in the process, and what the change meant to the participants. A total of eigh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nducting the coaching camp program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we interviewed the students in dep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 '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nd was derived from 115 formulated meanings, 34 themes, 12 theme clusters, and 3 catego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dolescents in the coaching camp program participated at the beginning of the camp in a double – sided manner and showed bias and passive behavior in the activity. However, as the program progressed, the adolescents gradually became self-disclosed in an empathic and accommodating atmosphere, and had experience of revising distorted thoughts and expressing and handling suppressed negative emotional conflicts that had been suppressed. The participants also found self-confidence by acknowledging preciousness as their own existence. As a result of this psychological change, the relationship of tru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ach and other participants shows a change in interpersonal and academic and career perceptions. For the participants, the camp has carved a meaning that has revived the hope and has become a means of transforming perspectives to see for themselves the discovery of self-existent value and the possibility of genuine internal growth. A further study is proposed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finding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학업중단 위기청소년
  2. 코칭과 코칭캠프 프로그램
 Ⅲ. 연구 방법
  1. 현상학적 연구방법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방법과 절차
  4.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을 위한 코칭캠프 프로그램
 IV. 연구 결과
  1. 코칭캠프 프로그램의 경험의 구성 의미, 주제, 주제군, 범주
  2. 주제군별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은자(한국가족상담코칭센터) | Lee Eunja (Korea Family Counseling & Coaching Cente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