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BL을 활용한 <공공예술의 이해> 수업 사례 및 학습효과 KCI 등재

‘Understanding Public Arts’ Class Case Using PBL and Its Learning Eff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024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목을 위한 PBL 수업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나타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공예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으며 1개의 PBL 모듈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전공별, 학년별로 구성되었고 총 7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학습자들이 PBL 과정을 거친 후 작성한 성찰저널과 자기평가, 그리고 학습만족이었다. 성찰저널에서는 키워드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협동학습 이해, 관련지식 습득과 적용, 실제 경험과 체험, 자아성찰과 변화된 자신, 그리고 문제해결력 향상의 다섯 가지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고, 학습만족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창의 융합 역량을 위한 PBL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문제의 다각적 분석과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견 제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고, 또한 학습만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PBL lessons for <Understanding Public Art> course. The author developed a set of problems for this research by applying one PBL module, which may help learners better understand the essence of 'public arts'. A total of 75 study subjects composed of students with varying majors and grad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sets used in the research were based on the reflection journals, self-assess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results submitted by the learners after they went through the PBL process. In the reflection journals, five learning effects including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related knowledge, actual experience and involvement, self-reflection and changed self,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In the self-assessment, learning performance was high in general, while learning satisfaction was also proven to be positive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urther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the PBL arts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capability of learners, so that learners sharpen their multidisciplinary problem analysis skills and come up with critical and creative opinions. It was also proven that further measures are necessary for improving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ultimately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ying how learners can improve their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내용 및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병우(신한대학교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 | Lim Byung 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