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형태재인을 이용한 디자인 발상 교육 프로세스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ocess of Design Thinking Education Using Pattern Recogn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037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5.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창의적인 디자이너를 육성하여야 하는 디자인 교육은 조형 활동의 경험을 통해 표현능력을 기르고 창의력을 개발하게 하는 것으로, 단순히 수업을 받는다는 개념이 아니라 형태교육의 기초를 습득하여 기초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는 학생들이 좀 더 흡수하기 쉽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그 성과에 대한 차이는 분명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교육 프로세스의 문제점 뿐 만 아니라 그 외의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생 개개인의 형태처리방식에 있을 것이라고 추론하여, 창의적인 발상기법에 대한 제시 뿐 만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어떻게 형태를 인지하여 재인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새로운 발상 교육과 어떤 관계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생 개개인별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형태를 전체적으로 재인하는 상향처리방식의 학생과 형태를 부분적으로 재인하는 학생은 하향처리방식의 학생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발상 교육 워크샵을 진행한 결과 상향처리방식의 학생들이 좀 더 나은 과정과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자인의 발상 교육과 더불어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디자인 발상 교육 프로세스의 효과를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라는 결과와 이와 관련된 교육 체계 또한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Design education,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ers, enhances expression and develops creativity through experience of formative activities. It should be meaningful to develop basic skills by learning the basics of formal educ ation, not just the idea of taking classes. Design training processes are being developed to make students more absorbable and more efficient, but performance differences arise. This can be seen as a function of the problem and other factors in the training process. This study deduce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process are likely to be in the formulation of each stud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students with the upward treatment method who overall re-sign the form and students who partially re-sign the form were classified as top-down students. Also, as a result of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workshop, students with the upward processing method performed better. This suggests that the result is th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tudent's individual along with the design concept education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 concept training process and the associated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developed.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내용 및 방법
 4. 실험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한호(경동대학교 디자인학과) | Han Ho
  • 김정범(경동대학교 건축공학과) | Kim Jungb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