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예술 교육을 통한 동두천 원도심 도시재생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Old City Center Regeneration Project for Dongducheon City via Public Art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03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5.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 교수법을 적용한 공공예술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최종 발표한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것들의 의미를 밝혀내는 데 있다. 연구진행을 위해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에 대해서 PBL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학습자들이 최종 발표한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한 후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학습자들이 제시하는 동두천 도시재생을 위한 키워드들은 크게 콘텐츠, 도시환경, 홍보로 범주화되었다. 콘텐츠 범주에 속하는 주요 키워드는 축제, 공연 등의 이벤트 요소와 먹거리, 체험, 학습프로그램 등이었다. 도시환경 범주의 주요 키워드는 복고풍, 리디자인 등이었다. 그리고 홍보 범주에서는 SNS와 유투브 등이 주요 키워드로 추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동두천, 특히 보산동을 중심으로 하는 원도심에 대한 학습자들의 니즈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학습자들은 공공미술에 대해서 PBL 학습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적이며 상호작용적으로 학습하였고, 학습결과를 위해 문제해결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학습을 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방안 발표내용은 이처럼 학습몰입의 결과이고,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팀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나온 아이디어 속에 담긴 키워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니즈를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동두천의 미래발전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keywords from the final presentations of learners in the public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problem-centered teaching method and at clarifying their significance. For this research, the PBL method was applied to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of Public Art>, and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ners’ final presentation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rners’ presentations on Dongducheon City Regeneration Project were classified into following categories: content; urban environment; and publicity. The main keywords in the ‘content’ category were event factors including festivals and performances, as well as food, experience, and learning programs. The main keywords in the urban environment category were retro and redesign. And social network and YouTube were extracted as key keywords in the publicity category. The study results are interpreted to be reflecting the learners’ interest in the old city center of Dongducheon, in particular, in Bosan-dong of the city. The learners learned them proactively and interactively in autonomous manner in the public art classes via PBL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they were also able to learn naturally about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city by problem-solving to ensure their learning performance. The learners’ presentations containing the problem-solving method are the result of their commitment to learning.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to grasp their actual needs, because they are the keywords contained in the ide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by many teams that were composed of members with various academic majors and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Dongducheon city.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내용 및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병우(신한대학교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 | Lim Byung 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