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희동의 회화와 전통회귀 KCI 등재

Return to Tradition in Ko Hui-dong’s Pain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159
  • DOIhttps://doi.org/10.15597/jksmi.25083538.2018.26.0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인 고희동의 회화는 1920년대 중반 서양화에서 전통회화로 회귀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가 서양화에서 전통회화로 회귀하게 된 과정을 검토한 다음 전통회귀 이후 그가 남화가로 분류된 사실에 주목하여 그 배경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고희동의 회화가 전통으로 회귀한 이후 조형표현에 나타난 특징은 두 가지 즉, 서양화법의 특징을 도입하여 절충적인 특징을 드러내거나 관념산수의 전통을 이으며 필선 중심의 묘사나 단일시점이 아닌 분절적인 시점을 설정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1940년대에 고희동이 조선남화연맹의 창립 회원으로서 활동하며 이상범, 노수현, 변관식 등과 함께 남화가로 활동한 사실은 그의 전통회귀가 일본인의 동아시아회화사 인식에 바탕을 둔 남화를 그리는 화가로 분류되었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phase in Ko Hui-dong’s artistic career marked by his return to traditional painting in the mid-1920s. The essay examines how this return exhibits the two noticeable features of stylistic fusion and traditionalism, and then, argues that this characteristic reflects what is known as Nanga painting, a school of Japanese painting. To examine this parallel, the essay first explores the aspect of stylistic fusion in Ko Hui-dong’s painting, in which the traditional feature of calligraphy is mixed with the technique of realistic representation. There is also another tendency to rely on a more traditional approach defined by line-centered depiction and multiple perspectivism often found in imaginary landscape painting. By the 1940s, Ko Hui-dong’s involvement with Nanga painting was evident when he became an organizing member of Society of Nanga Painters in colonial Korea with Yi Sang-beom, Noh Su-hyun, Byun Gwan-sik. In short, his return to traditionalism spells out a spiritual as well as stylistic alliance with Nanga painting rooted in the history of Japanese modern arts in incorporating traditionalism and realism.

목차
Abstract
 I. 서론
 II. 고희동의 서양화
 III. 전통회귀의 양상
 IV. 남화가 고희동
 V. 결론
 참고 문헌
저자
  • 김용철(고려대학교) | Kim Yongcheol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