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의 문화번역 KCI 등재

Cultural Translation of Japanese Surrealist 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162
  • DOIhttps://doi.org/10.15597/jksmi.25083538.2018.26.1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본고는 1920년대 말-1940년대 중반 초현실주의가 일본 미술계에 소개되어 주요한 미술운동으로 전개되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던 단체와 인물을 중심으로,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의 보편성(국제성)과 특수성(민족성)을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은 초기에는 기계주의, 주지주의가 반영된 도시적 모더니즘 경향이 강했으나, 점차 “앙드레 브르통 및 그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반이성주의와 인간정신의 해방을 강조하게 된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사회 전체에 대동아공영(大東亞共榮) 사상이 확산된 무렵 일본 초현실주의를 이끈 지도자들은 오리지널과의 차이를 역설하면서 ‘일본 환상성의 전통’을 소환한다. 특정 전통의 재발견은 군국주의와 전체주의가 강화되어가는 전시(戰時) 체제 하에 초현실주의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수 있으나, 결국 전위가 시국(時局)에 동조함으로써 전위성을 상실하게 되는 모순을 낳았다.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Surrealist Ar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ranslation by focusing on the major organizations and figure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surrealist art movement in Japan. In its early stages, Japanese Surrealist Art was closer to urban modernism, which was based on intellectualism and mechanicalism. However, this type of art changed and began to emphasize anti-rationalism and the liberation of the human mind as André Breton and his colleagues did. In the mid-1930s, when the ideology of “Greater East Asia’s co-prosperity” permeated through all of Japan’s society, some leaders of the movement began to call for “traditions of Japanese fantasy” to accentuate the changes transpiring within the movement. The rediscovery of traditions might be viewed as a strategy to protect Japanese Surrealism under the wartime system of totalitarianism, but these changes eventually brought the ironic result that the avant-garde lost its avant-gardeness through its attempt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과회를 중심으로 한 도시적 모더니즘: 기계주의와 주지주의의 반영
 Ⅲ. 독립미술협회와 신조형미술협회의 초현실주의: 오리지널과의 거리 좁히기
 Ⅳ. 전통 혹은 고전의 소환: 초현실주의와 내셔널리즘
 Ⅴ. 미술문화협회의 초현실주의: ‘전위’의 미명 아래
 Ⅵ. 결론
 참고 문헌
저자
  • 박혜성(한남대학교) | Park Hyesung (Han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