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중관계의 전개와 현안문제 및 시사점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the U.S.-China Relationship, Pending Issues and Im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5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논문은 ‘미중관계의 전개와 현안문제 및 시사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 및 적대적 대결기의 미중관계, 미중접근·관계정상화기 및 1980∼90년대 미중관계, G2시대 개막후 2010년대 중반까지의 미중관계, 트럼프-시진핑시대의 미중관계와 주요현안과 시사점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의 중국의 급속한 성장은 기존의 미국중심의 단극적 국제질서를 변화시키며 양국간의 경쟁을 촉발시키 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전략·경제대화’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고, 주제 역시 양자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글로벌 이슈까지 논의하는 나라로 발전해왔다. 미중협력·갈등의 현안문제는 양국관계는 물론 글로벌 이슈를 망라하고 있다. 예컨대 남중국해, 북핵과 사드, 통 상·금융질서, 대만문제 등이 바로 그것이다. 미중갈등은 남의 일이 아니라 한국의 외교·안보·경제에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우리는 미중관계에 있어서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이 나오지 않도록 튼튼한 한·미 안 보공조관계를 유지·강화해 나가는 한편, 한·중 경제협력관계도 조화롭 게 추진해 나가는 헤징전략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development of the U.S.-China relationship and pending issues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6 chapters titled instru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early and hostile confrontation period; the relationship of US-Chinese approach/normalization period and the relationship in the 1980s and 1990s; the relationship by mid-2010 since the opening of the G2 era; the US-China relations and major pending issues and implications in the era of Trump-Xi Jinping; and conclusion. The rapid growth of China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as changed the existing US-centered international order and has triggered competi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become the only countries that regularly hold strategic and economic dialogue, and the topic has also developed into a country that discusses not only bilateral relations but also global issues. The issues of US-China cooperation and conflicts encompass global issues as well as bilateral relations issues. For example, the South China Sea,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THAAD, the economic and financial order, and the Taiwan issue. It is not a matter of another country, but a problem that directly or indirectly leads to Korea's diplomacy, security and economy. In order to prevent 'Korea passing' in the US-China relationship, we need a hedging strategy that maintains and strengthens the strong ROK-US security cooperation and harmonious promotion of ROK-China economic cooperation.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초기 및 적대적 대결기의 미중관계
  1. 초기의 미중관계: 통상 및 미국의 대중차관·군원제공(1844〜1949)
  2. 중공정권수립과 한국전참전 후 대립관계(1949-1969)
 III. 미중접근·관계정상화기의 미중관계
  1. 1960년대 후반 미중접근과 1970년대 관계정상화(1969-1979)
  2. 1980∼90년대 미중관계: 냉각·악화·재정립속의 G2전략대화 모색
 IV. 트럼프-시진핑시대 이전의 미중관계
  1. 부시-후진타오 집권기의 미중관계
  2. 오바마-후진타오 집권기의 미중관계
  3. 오바마-시진핑 집권기의 미중관계
 V. 트럼프-시진핑 시대 미중관계와 주요현안 및 시사점
  1. 트럼프의 취임과 시진핑의 재집권
  2. 미·중의 전략적 경쟁과 주요현안
  3. 미중의 전략적 경쟁의 한국에의 함의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강녕(조화정치연구원) | Kim Kang-nyeong (Institute of Global Harm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