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다문화밀집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KCI 등재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s in multicultural area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508
  • DOIhttps://doi.org/10.14328/MES.2018.12.31.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더불어 다문화학생이 밀집되는 학교가 생겨나게 되고, 이에 따라 학교의 교육과정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경기도 교육청은 다문화학생이 밀집된 학교를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 학교로 지정된 세 초등학교를 바탕으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자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된 세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다문화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세 학교 공통적인 내용 요소 및 운영 방법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운영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규 교육과정운영이 어려운 다문화밀집지역 학교의 다문화교육과정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이 아래와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중언어 수업 교실 운영이다.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한 다문화학생들은 모어를 통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받고, 국제화시대에 외국어교육을 강화하기를 희망하는 일반 학생들은 그들의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교과를 이중언어로 배우는 것이다. 둘째, 학생 단계에 따른 맞춤형 국어 수업이다. 맞춤형 국어 수업은 다문화학생에게는 한국어를 수준에 맞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일반학생들은 학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통합교육과정 개발 및 수업 자료 보급이다. 기존 교과서를 통합하여 연계성 있고 지속성 있는 다문화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문화이해 교육에서 벗어나 비판적 사고 및 사회 행동적 접근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학생 적응 지원을 위한 디딤돌 교실 운영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하다. 특별 학급 및 예비 학급에서 일반학급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서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디딤돌 교실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한국어 부족 학생 상담을 위한 통역 동반 상담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생 및 교육과정 운영에 맞는 평가 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이중언어로 진행하는 교과 교육 및 맞춤형 국어 수업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적합한 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국가 및 지역 교육청의 다각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의 비율 증가로 정규 교육과정 운영이 어려운 다문화밀집지역의 학교에서 모든 학생의 성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고 그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schools with a high number of multiculturalbackground student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we interviewed with teachers who in charge of developing curriculum of three multiculture global elementary schools. We extracted common contents and system of multiculture curriculum based on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recommend a bilingual immersion class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difficult to speak Korean and for Korean students who want to learn foreign languages. Second, we recommend to rearrange Korean classes in line with students’ proficiency level because there are many students whose fisrt langauge is not Korean. Customized Korean language classes provide an opportunity for multicultural students to learn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and proficiency level, and in turn, the students can expect to improve academic attainment. Third, there need to be more integrat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top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will lead to critical thinking reflecting social-behavioral approaches. Forth, there need to be scaffolding classes and counselling sessions for multicultural students. Fifth, there need to be appropriate evaluation systems for students and curriculum. Sixth, multi-directional support from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is required. These findings could have a significance contribution to develope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everyon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과정 변화 과정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대상
  2. 연구 방법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다문화국제혁신학교 다문화교육과정 분석
  2. 질적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참고문헌
저자
  • 장인실(경인교육대학교) | In Sil Chang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영진(경인교육대학교) | Young Jin Park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