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군함정 사고사례 및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nalysis of a Naval Warship Accident and Related Ri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5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최근 해상 교통 환경의 변화로 인해 해군함정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2017년 미 해군 구축함 사고로 인해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군 교육 자료, 해군함정 사고 재결서, 미구축함 사고 분석 보고서의 해군함정 사고사례를 이용해 해군함정 사고를 분석하고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한 자료를 중심으로 함정 사고 현황을 파악하고 사고사례를 분석하였다. 사고재현 절차에 따라 사고사례 17건을 재현하고 해군함정 사고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해군함정 사고 17건의 CPA, TCPA 및 PARK 모델 위험도 분석 결과, 충돌위험은 평균적으로 사고발생 5~6분 전을 기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해군 사례 교육 및 시뮬레이션 교육의 시나리오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naval warship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Especially in 2017, serious loss of life was caused by a US navy destroyer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aval warship accident cases and construct an accident scenario by using naval training materials, adjudication of naval warship accidents and US navy destroyer accident reports.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status of accidents was identified and cases were analyzed. We reproduced 17 accident cases in accordance with accident reproduction procedure and constructed naval warship accident scenario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PA, TCPA and PARK model for risk, reproducing 17 naval ship accident cases, collision risk increased on average 5-6 minutes before an acci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represents basic data for naval and simulation education material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해군함정 사고사례 분석
  2.1 해군함정 사고현황
  2.2 해군함정 사고사례 분석
 3. 해군함정 사고재현
  3.1 사고재현 절차 및 방법
  3.2 함정사고 시나리오 구축
 4. 해군함정 충돌 위험도 분석
  4.1 CPA / TCPA 분석
  4.2 위험도 분석
  4.3 시사점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신대운(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Daewoon Shin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박영수(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Youngsoo Park (Maritime Transportation and Science,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최광영(대한민국 해군) | Kwang-young Choi (Republic of Korea Navy)
  • 박상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 Sangwon Park (Korea Maritime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