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the Overseas Teaching Practice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Pre-Service Teachers’ Global Teaching Compet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8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교사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글로벌 교육역량을 구체화하고, 해외교육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이다.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은 국내 사전교육과 해외교육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국내 사전교육으로 예비교사들은 글로벌 특강,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및 시연, 영어 회화 수업을 수강했으며, 해외교육실습은 미국 중서부와 서부 지역에서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2~3주간 실시되었다. 참여한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는 설문지와 예비교사들의 학습일지 및 소감문 자료, 영어 의사소통능력 변화는 사전, 사후에 실시한 영어 의사소통능력평가 결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 조사에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은 모두 상승하였으며, 각 요인간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20명 중 17명이 1단계에서 4단계 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어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전후에 글로벌 교육역량의 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교육이 해역량, 글로벌 교수능력,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n oversea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fluenc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lobal teaching competence and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During a prior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consisting of 20 pre-service teachers, practiced making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and took English communication lessons and special lectures related to the American educational system and cultural communic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tested regarding their pre and post global teaching competence and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by using survey tools and an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survey, interview results, and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e-service teachers' global teaching competence all the components were improved upon and each component was correlated highly comparatively.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positively improved, which indicated that the overseas teaching practice and cultural experience influenced their overall competence. Third, after analyzing the subareas of global teaching competence, global teaching comprehension, global teaching skill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all four areas were positively improved upon. Several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r an effective overseas practice program have been suggested.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글로벌 교육역량
  2. 교육실습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
  2. 예비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변화
  3. 예비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 요인별 변화와 경험
 V.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강정진(경인교육대학교) | Kang Jung-J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