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양한 부형제 첨가에 따른 인삼분말 과립차의 물리적 특성 KCI 등재

Physical Properties of Granule Prepared by Ginseng Extracts and Selected Forming Ag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8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인삼과립차의 편의성 및 기호성 증진을 위해 부형제인 젖당, 포도당 및 아라비안 검의 첨가량에 따른 과립차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젖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포도당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흡습성은 낮아지고 용해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포닌 용출량은 첨가되는 부형제의 종류 및 양에 영향을 받기 보다는 인삼농축액의 첨가량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라비아 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습성, 용해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도는 큰 차이점이 없었다. 부형제 첨가에 따른 인삼 과립차의 최적 배합비는 인삼농축액 10%, 젖당 80%, 글루코즈 5% 그리고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5% 이었다.

The ginseng extract was dried and added forming agents using lactose, glucose and arabic gum to enhance convenience and consumer acceptability. As the addition of lactose increased, the absorption of ginseng granule decreased and the solubility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glucose added decreased. The amount of solubilized saponin from the ginseng granules was affected more by the addition amount of ginseng concentrate than by the kind and amount of the forming agents added. Absorption and solubility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mount of arabic gu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change(p<0.05). The optimal mixing ratio of ginseng granules according to addition of forming agents was 10% of ginseng concentrate, 80% of lactose, 5% of glucose and 5% of arabic gum.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공시재료
  2.2. 인삼 추출액 및 과립차의 제조공정
  2.3 인삼 과립차의 물리적 특성 분석
  2.4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젖당의 첨가량에 따른 인삼 과립차의 품질 특성
  3.2. 글루코즈 첨가량에 따른 인삼 과립차의 품질 특성
  3.3. 아라비아 검 첨가량에 따른 인삼 과립차의 품질 특성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허상선(중부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바이오의약전공) | Sang-Sun Hur (Division of Intergrated Biotechnology, Depart of Food Biotechnology & Pharmaceutica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김일출(중부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바이오화장품전공) | Il-Chool Kim (Division of Intergrated Biotechnology, Depart of BioCosmatic Science,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