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전공 신입생들의 체질량지수,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 조사 KCI 등재

The Investigation of Body Mass Index, Body Image, Eating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Freshm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8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체육전공 남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남녀 체육전공 신입생 595명(남녀: 341 vs. 254)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상자들은 신체이미지(Body sahpe questionnaire; BSQ), 식사태도(Eating attitude test-26; EAT-26), 및 신체활동(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IPAQ)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정상체중은 67.2%로 나타났으며, 저체중은 5.4%, 과체중과 비만이 17.8%, 9.6%로 나타났다. 남학생들의 57.7%와 여학생들의 78.7%는 정상체중으로 분류되었다. BSQ 검사 결과 총 대상자 중 불만족의 비율은 48.2%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22.9%와 여학생 82.3%가 불만족으로 나타났다. EAT-26 검사 결과 전체 20.2%가 비정상적인 식사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은 7.3% vs. 37.4%로 나타났다. 신체활동량 조사 결과 99%의 대상자들이 활동적으로 조사되었다. BMI, BSQ, EAT-26, 그리고 신체활동량은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는 남녀 대상자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는 남자 대상자들에서만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신체활동량은 남녀 모두에서 다른 변인들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신체불만족과 비정상적인 식사태도의 비율이 높으며, 신체이미지의 불만족이 높을수록 비정상적인 식사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body mass index, body image, eating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freshman. 341 male and 254 femal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illed out the BSQ, EAT-26, and IPAQ questionnaire. Based on the their BMI, normal was 67.2%, underweight was 5.4%, overweight was 17.8%, and obesity was 9.6%. The normal rates of male and female were 57.7% vs. 78.7%. The results of BSQ were indicated 48.2% of participants was dissatisfied, and the rates of male and female were 22.9% vs. 82.3%. The results of EAT-26 showed that 20.2% of participants had abnormal eating attitude, and the rates of male and female were 7.3% vs. 37.4%. 99% of participants was physically active. All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gend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BMI was correlated with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in male students. However, physical activity was no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In conclusion, physical education students had high rate of dissatisfied in body image and rate of abnormal eating attitude. In addition, the higher dissatisfied in body image was the more abnormal eating attitude. Therefore, the proper education about weight management and change of social awareness may be need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신체측정
  2.3. 신체이미지
  2.4. 식사태도
  2.5. 신체활동도 조사
  2.6. 자료처리 방법
 3. 결 과
  3.1.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징과 체질량지수
  3.2.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신체활동량 분류
  3.3. 체질량지수,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윤병곤(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Byung-Kon Yo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Dong Eu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