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의 의미 탐색 KCI 등재후보

Exploring the meaning of project science activities using local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9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생활에 기반이 되는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분석하여 과학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와 교사가 협력하여 D시에 위치한 공립단설유치원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수업녹화영상, 수업일지, 연구일지, 교사 저널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는 ‘공동의 관심사 탄생’,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과학적 탐구’, ‘지켜주고 싶은 자연’으로 범주화 되었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생활과 교육과정의 통합’, ‘지속적 탐구와 몰입을 이끄는 과학적 탐구과정’,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확장된 과학적 탐구’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생활을 기반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와 지역 자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는 의미 있는 과학교육의 실천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project science activities using the local environment based o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nd giving them to young children and teacher. For this purpose, researcher and teacher collaborated us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ology to conduct project science activities with 28 local children in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and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through class recording video, classes diary, research journal, and teacher journ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he project science activities using the local environment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project science activities using the local environment for children have been categorized as 'the creation of common interests', 'natural pursuit of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that we want to protect'. The meaning of project science activities using the local environment for teacher were categorized as 'integration of life and curriculum', 'scientific inquiry process leading to continuous inquiry and immersion', and 'scientific inquiry expanded through linkage with home'.
In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young children could develop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inquiry and local nature, and teacher had opportunity to experience meaningful science education practice by project science activities using local environment.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과정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유아에게 주는 의미
  2. 교사에게 주는 의미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명희(대구세천유치원) | Kim Myeong-Hee
  • 서현정(순천향대학교) | Seo Hyun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