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의 운동시간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KCI 등재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Spi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Hours and Peer Re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1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운동시간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종단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중 1, 2, 3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결측치를 제외한 2163명의 자료를 통해 체육수업 중 운동시간, 공동체의식, 교우관계를 측정한 문항들이 잠재성장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운동시간과 교우관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공동체의식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고, 세 변인 모두 초기값과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종단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운동시간의 초기값이 교우관계의 초기값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시간의 변화율 또한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을 매개로 교우관계의 변화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생들의 운동시간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종단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 중 실제 운동참여시간이 더 많은 학생들이 공동체 의식이 강하고 교우관계도 좋다는 결론과 함께, 운동시간을 점차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spi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hour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eer re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fter excluding missing values, total 2,163 longitudinal data from 1st to 3th wave (4-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o perform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Results: There were linear increases in exercise hours and peer relation, but linear decrease in community spirit, an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ll thre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f mediating analysis represented that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from the initial value of exercise hours to the initial value of peer relation, while there w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initial value of community spirit. Also, the rate of change in exercise hours indirectly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in peer relation via the rate of change in community spirit. Thus,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spirit between exercise hours and peer relation in elementary students was verified.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that students with more hours of exercise have strong community spirit which develop peer relation, and increasing exercise hours can help making good peer re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developing their community spirit.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4. 연구모형
 Ⅲ.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잠재성장모형 분석
 Ⅳ. 논의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강상욱(서울대학교) | Sangwook K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인우(서울대학교) | Inwoo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권성호(서울대학교) | Sungho Kwon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