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형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KLSTS) 타당화 KCI 등재

The Validation of Korean Life Skills Transfer Survey (KL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1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이 연구는 Weiss, Bolter, 그리고 Kipp (2014)에 의해 개발된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Life Skills Transfer Survey; LSTS)를 가지고 한국형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로 타당한 측정도구인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3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단계 1에서는 원척도 8요인 50문항을 바탕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단계 2 에서는 중·고생 323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LSTS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 3에서는 새로운 연구 참여자인 377명의 중·고생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STS는 8요인 38문항으로 추출되었다(도움주고받기 7문항, 건강관리하기 5문항, 다름인정 3문항, 만나기와 인사하기 6문항, 목표설정하기 5문항, 친구 갈등해결하기 4문항, 형제 갈등해결하기 4문항, 그리고 감정조절하기 4문항).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들은(CFI=.909, TLI=.900, RMSEA=.051, SRMR=.056) 8요인 38문항으로 구성된 KLSTS의 요인 구성 타당성을 제시했다. 결론: KLSTS는 국내 청소년들의 라이프스킬 전이 정도를 검사하는 타당한 측정도구로 밝혀졌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a measure of life skills transfer with the life skills transfer survey developed by Weiss, Bolter, and Kipp (2014). Methods: Three phases were undertaken to address purpose of this study. In phase 1, content validity was tested with the LSTS composed of 8-factor, 50-item. In phase 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on responses from 323 youths. And in phase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on a unique data of 377 youths. Results: The EFA extracted eight factors and 38 items. The eight life skills included Helping Each Others (7-item), Making Healthy Choices (5-item), Appreciating Diversity (3-item), Meeting and Greeting (6-item), Goal Setting (5-item), Resolving Conflict with Friends (4-item), Resolving Conflict with Siblings (4-item), and Managing Emotion (4-item). The CFA revealed the validity of KLSTS with the eight-factor solution was confirmed and fit indices suggested a good fit (CFI=.909, TLI=.900, RMSEA=.051, and SRMR=.056).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at the KLSTS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assess life skills transfer of Korean youths.

목차
목적
 I. 서 론
 Ⅱ. 연구방법
  단계 1: 내용타당도 검사
  단계 2: 탐색적 요인분석
  단계 3: 확인적 요인분석
 Ⅲ.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2. 탐색적 요인분석
  3. 확인적 요인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태희(용인대학교) | Taehee Lim (Yongin University)
  • 배준수(용인대학교) | Junsu Bae (Yongin University)
  • 장창용(인천대학교) | Chang-Yong Ja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