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학생-운동선수의 목표달성 예측: 도전과 위협상태이론 관점 KCI 등재

Predicting Adolescent Athletes’ Goal Attainment: A Prospective of the Theory of Challenge and Threat St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1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연습 상황에서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인지평가, 정서, 대처방식 및 목표달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 및 운동경력 수준 간 구조모형의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체육고등학교 운동선수 473명(남자=318명, 여자=155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다집단 분석에 의해 처리되었다. 결과: 연습 상황에서 고교 선수의 긍정적 정서와 문제중심대처는 도전평가와 목표달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긍정적 정서와 정서중심대처도 도전평가와 목표달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정서와 정서대처 및 회피대처는 위협평가와 목표달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들 구조적 관계는 성별과 운동경력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스트레스 사건들을 도전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긍정적 정서와 문제중심 대처전략을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 athletes’ cognitive appraisal, emotions, coping, and goal attainment, and to investigate its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athletic career. Methods: Subjects were 473 high school athletes (318 males, 155 fema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Adolescent athletes’ positive emotions and problem-oriented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hallenge appraisal and goal attainment in a competitive situation. Also athletes’ positive emotions and emotion-oriented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llenge appraisal and goal attainment. But negative emotions, emotion-focused coping, and avoidance coping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 appraisal and goal attainmen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ere invariant across gender and athletic caree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thletes should perceive a stressful event as challengeable and develop problem-oriented coping for their goal attainment.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과
  1. 확인적 요인분석
  2. 상관분석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4. 다집단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1. 정서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2. 연구모형의 교차 타당성
  3.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승재(강원대학교) | Seung-Jae Ki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중길(강원대학교) | Jung-Gil Park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