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토깊이에 따른 소나무, 벚나무의 생육변화 KCI 등재

A Study on the Growth Variation of the Pinus densiflora and Prunus serrulata by the Depth of the Soil Cover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9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 등으로 식재지 토양의 협소화와 척박화, 병해충, 농약 및 살충제의 오·남용 등으로 생활권 수목에 다양한 장애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 중 비전문가에 의한 식재, 도로건설이나 포장, 수목 주변의 시설물 설치 등으로 과복토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복토에 의한 피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복토 깊이와 토양을 달리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소나무와 벚나무의 생육변화를 조사하였다. 2017년도 소나무의 토양호흡은 대조구가 42.15mg·kg-1·h-1, 마사토 100cm가 32.47mg·kg-1·h-1, 사질양토 100cm가 33.48mg·kg-1·h-1로 대조구보다 10mg·kg-1·h-1 정도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2014년에 비해 2017년의 흉고직경은 대조구가 3.70cm, 마사토 100cm가 3.67cm, 사질양토 100cm가 3.53c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간생장량은 대조구가 23.30cm, 마사토 100cm가 13.40cm, 사질양토 100cm가 11.31cm로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나, JnusMeter1의 측정에 의한 형성층 전기저항치는 미미한 차이가 있는 조사구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2017년도 벚나무의 토양호흡은 대조구가 43.81mg·kg-1·h-1, 마사토 100cm가 36.49mg·kg-1·h-1, 사질양토 100cm가 31.55mg·kg-1·h-1로 소나무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고, 2014년에 비해 2017년의 흉고직 경은 대조구가 2.97cm, 마사토 100cm가 4.69cm, 사질양토 100cm가 2.97c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도 벚나무의 개화시기는 다른 조사구에 비해 50cm 이상 구역에서 3일 빨리 시작되었다. 형성층 전기저항치는 소나무와 같이 미미한 차이가 있는 조사구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It is occurring various obstacles in the trees on accou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agricultural chemicals abuse, etc. The damage caused on the soil covering of these is increasing by planting by amateur, road pavement and installation facility around tree, etc.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studies to investigate damage caused on soil covering and was surveyed the growth variation of the Pinus densiflora and Prunus serrulata by soil depth and soil texture from 2015 to 2017. The visible damage was not evident but it showed some changes soil respiration, leaf color of crown, internodal growth and flowering time. The soil respiration of 2017 of Pinus densiflora was measured as 42.15 mg·kg-1·h-1 in control, 32.47 mg·kg-1·h-1 in sand 100 cm, and 33.48 mg·kg-1·h-1 in sandy loam 100 cm of the surveyed sites. The DBH of 2017 year was increased by 3.70 cm in control, 3.67 cm in sand 100 cm, and 3.53 cm in sandy loam 100 cm as compared to 2015 year. The internodal growth was measured as 23.30 cm in control, 13.40 cm in sand 100 cm, and 11.31 cm in sandy loam 100cm. The soil respiration of 2017 of Prunus serrulata was measured at 43.81 mg·kg-1·h-1 in control, 36.49 mg·kg-1·h-1 in sand 100 cm, and 31.55 mg·kg-1·h-1 in sandy loam 100 cm. The DBH of 2017 year was increased by 2.97 cm in control, 4.69 cm in sand 100 cm, and 2.97 cm in sandy loam 100 cm as compared to 2015 year. It was begun flowering time 3 days earlier in the 50 cm or more than other sites in 2017.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및 조사 대상목
  2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토양호흡
  2 생장 특성
  3 형성층 전기저항
 References
저자
  • 김민영(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in-Young Kim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IALS), Gyeongsang National Univ.)
  • 유지호(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i-Ho Yu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IALS), Gyeongsang National Univ.)
  • 전형국(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Hyeong-guk Jeon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종갑(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ng-Kab Kim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IALS),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