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復菴 曺垣淳의 「神明舍圖銘」에 대한 解釋과 改定 KCI 등재

An Interpretation and Revision on 「Sinmyeongsadomyeong」 of Bokam Cho Won-soon

복암 조원순의 「신명사도명」에 대한 해석과 개정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438
  • DOIhttps://doi.org/10.14381/NMH.2019.61.03.30.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復菴 曺垣淳(1850-1903)이 南冥 曺植(1501-1572)의 핵심 사상을 담지하고 있는 「神明舍圖」와 「神明舍銘」에 대해 어떤 관점에서 해석했으며, 그것이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것이다. 조원순은 남명의 10세손으로서 남명학의 계승과 선양을 평생의 사명 으로 삼은 학자이다. 그는 이 사명을 위해 「神明舍圖銘」에 대해 註解하 고 그림을 개정했으며, 1897년에는『南冥先生全集』을 간행했다. 조원순은 「神明舍圖銘解」ㆍ「論神明舍圖」ㆍ「辨神明舍圖」ㆍ「客辨」 등 네 편의 저술을 지어 「신명사도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의 해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신명사도」의 구조를 上面의 持敬과 下面의 立誠으로 파악한 점이다. 「신명사도」에 대한 조원순의 설명을 토대로 남명의 학문에서 敬ㆍ義는 방법에 해당하며, 誠은 도달해야 할 목표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원순은 남명의 「신명사도명」을 周敦頤의 「太極圖說」과 동일한 내 용으로 해석했으며, 이전의 「신명사도」를 고쳐 새롭게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것을 통해 남명의 학문이 老莊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성리학에 근본한 순정한 학문이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This thesis contemplates under what point of view has Bokam Cho Won-soon interpreted 「Sinmyeongsado」 and 「Sinmyeongsamyeong」 that contain the core ideology of Nammyung Cho Sik and what would be the implication found within them. Cho Won-soon was a 10th generation descendent of Nammyung and a scholar with the succession and enhancement of Nammyung as his life-long mission. For this mission, he annotated on 「Sinmyeongsadomyeong」 and revised the paintings and published Nammyung Story Collection in 1897. Cho Won-soon published four pieces of writings in 「Sinmyeongsado myeonghae」, 「Nonsinmyeongsado」, 「Byeonsinmyeongsado」 and 「 Gaekbyeon」 to disclose his opinion on 「Sinmyeongsadomyeong」. Characteristic displayed in his interpretation is to find out the structure of 「Sinmyeongsado」 on the chijing of upper part and accomplishment of lower part. Based on the explanation of Cho Won-soon on 「Sinmyeongsado」, Respect and righteousness in the academics of Nammyung would be applicable for the study methodology and devotion has to be objective to accomplish in its presumption. Cho Won-soon interpreted 「Sinmyeongsadomyeong」 of Nammyung with the same contents with 「Taegeukdoseol」 of Joo Doni, and the work to newly revise by correcting the previous 「Sinmyeongsado」 has been processed. Through this endeavor, it is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the academics of Nammyung was not related to elderly and aged, but was the purest academics with the Confucianism system.

목차
Ⅰ. 머리말
 Ⅱ. 南冥學의 계승과『南冥先生全集』 간행
 Ⅲ. 「神明舍圖銘」에 대한 解釋의 觀點과 改定
 Ⅳ. 맺음말
저자
  • 全丙哲(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전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