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 비디오게임이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자신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Exercise Video Game on Elderly Adults’ Exercis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5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연구의 목적은 운동 비디오게임이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0명 노인이며, 평균연령은 72.09세(SD=1.57)이다. 연구대상자들은 세 가지 실험 조 건인 (1)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n=20), (2) 유산소운동집단(n=20), (3) 통제집단(n=20) 중 하나에 무선 할당하여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설계는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개 집단(운동 비디오게임, 유산소운동, 통제)과 시기(사전, 사후) 혼합설계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했다. 집단 간 주 효과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Turkey’s HSD을 실시했고, 집단과 측정시점의 상호 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LMATRIX & MMATRIX 하위명령어를 입력한 syntax를 실행시켜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통계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자신의 건강상 태이다. 결과: 유산소운동 집단과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이 운동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자신의 건강상태에서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유산소운동 집단과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은 운동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이 운동의 형태로서 효과가 있으며,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ercise video games on elderly adults’exercis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Methods: Subjects were 60 elderly adults aged 65–75 years (mean = 72.09 years).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1) exercise video game group (n = 20), (2) aerobic exercise group (n = 20), and (3) control group (n = 20).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xercis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es of variance (ANOVAs) with a 3 (group: exercise video game group, aerobic exercise group, control group) × 2 (time: pre-test, post-test) design. The main effects of group were tested using a Tukey’s HSD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approach. And post-hoc testing using the LMATRIX & MMATRIX subcommands in combination with syntax was conducted for interaction effects. All sta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erobic exercise and exercise video game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exercis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health than did the control group. However,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erobic exercise and exercise video game groups in either outcome.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an exercise video game was an effective form of exercise for improving the exercis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of elderly adult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실험 절차 및 측정 방법
  3. 자료처리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운동자기효능감
  2.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 분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성운(경북대학교) | Sung-Woon Ki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우철(대구보건대학교) | Woo-Cheol Kim (Daegu Health College)
  • 김한철(영남대학교) | Han-Cheol Kim (Yeu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