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선수의 공감과 공격행동의 관계: 분노의 매개역할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Aggressive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Ang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54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공감과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분노가 어떠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및 대학 운동선수 3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감, 분노, 공격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구조모형분석, 그리고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선수들이 인식한 공감은 분노에 부적인 영향 미쳤다(β=-.606, p<.001). 둘째, 분노는 공격행동에 정적인 영향 미쳤다(β=.270, p<.001). 셋째, 선수들이 인식한 공감은 공격행동에 부적인 영향 미쳤다(β=-.181, p<.05). 마지막으로 공감인식과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분노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p<.01). 결론: 본 연구를 통 해 공감의 역할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향후 스포츠 현장에서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제시와 선수들의 인성 교육을 준비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aggressive behavior, and (b)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aggressive behavior.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assumed that empathy would affect anger, and these would, in turn, affect aggressiv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anger. Methods: Three hundred fifty five Korean high school and collegiate athletes from 13 spo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Mage= 17.26years, SD= 2.05). The participants completed four questionnaires: a demographic questionnaire, Empathy Scale, Anger Scale, and Aggressivness Sca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final model indicated that empathy was negatively related to anger (-.60). Ang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gressive behavior (.27). Empathy was negatively related to aggressive behavior (-.18).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were observed. The bootstrapp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aggressive behavior was mediated by anger.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e role of empathy. Thus,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sports field, we suggested a new way to improve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 and the player and other members.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framework that can be used as program material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of athlet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및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2. 소속과 성별에 따른 공감의 평균분석
  3. 측정모형 평가
  4. 연구모델 내 변인들의 관계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최헌혁(한국교원대학교) | Hunhyuk Choi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정구인(한국교원대학교) | Kooin J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