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스포츠 우리성과 팀 성과의 변화 KCI 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m Communication Program and it’s Effects on Sport Weness and Achiev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5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 남자 농구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스포츠 우리성 및 팀 성과에 대한 변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8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A대학교 남자 농구 팀 11명의 선수들 이 참여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은 조사연구를 시작으로 개방형 질문지,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과 다각 검증을 통해 요구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스포츠 우리성, 팀 성과 설 문지를 활용하여 사전 · 사후 · 추후 반복측정 분석(Repeated Measures ANOVA)과 선수들이 작성한 경험 보고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교 남자 농구 팀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은 공감형성, 존 중경험, 의사표현, 선수 간 의사소통, 친밀감, 배려, 단합, 신뢰형성으로 나타났으며 8개의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기초활동, 기본활동, 응용활동 총 3단계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둘째, 대학교 남자 농구 팀의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은 스포츠 우리성 요인 변화에 대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 났고, 사후와 추후 간에서는 감소하였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성과 요인 변화에 대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와 추후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포츠 현장에서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필 요성 강조 및 프로그램 활성화를 촉진 시킬 것으로 판단되며 더 나아가 선수들의 목표 달성과 팀의 경기력 향상에 가교 역할을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m communication program for college level basketball team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sport weness and team achievement. Methods: Eleven currently registered male basketball players in a university participated for the study. Using open questionnaire,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an initial form of team communication building program was prepared. Experts in the area of sport psychology performed inductive and triangulation analyses to finalize the program. Upon its comple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grogram was test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sports weness and team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its application. Results: First, 8 factors (sympathy formation, respect, communication between players, human expression, closeness, consideration, unity, and trust formation) were identified to be included the team communication program. Then, these factors were included in 3 stages (fundamental, primary, application) of total 12 sessions. Secondly, Results from the repeated Measures ANOVA showed the increased levels of sports weness and team achievemen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nclusion: Given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 gaol achievement and improved performanc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furth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m communication program and vitalize it among athlet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 대상자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Ⅲ. 연구 결과
  1.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
  2. 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효과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범준(상명대학교) | BeomJun Kim (Sang Myung University)
  • 이동현(상명대학교) | DongHyun Lee (Sang 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